d라이브러리
"높이"(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수학 히어로! 슈퍼M] 가장 빠른 미끄럼틀은 무엇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있어서 공이 출발하자마자 속력이 더 빠르게 더해져요. 그래서 공을 같은 위치, 같은 높이에서 굴릴 때 사이클로이드 곡선에서 공이 가장 빨리 내려가요. 사이클로이드 미끄럼틀이 직선 미끄럼틀보다 더 빠르고 짜릿한 이유이지요 ... ...
- [기획] 다누리 발사만 남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고장 나지 않도록 새까만 단열재를 입힌 모습이었죠. 다누리는 가로 1.82m, 세로 2.14m, 높이 2.19m로 작은 자동차 크기였어요. 2016년 5월 처음 개발돼 이제 막 조립을 마친 다누리는 우주에서 제대로 작동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영하 183℃에서 영상 123℃까지의 극한 온도●, 진공, 고압 상태를 재현하는 ... ...
- [특집] 미래의 날씨를 오늘로 불러오는 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내부에서 뿜어져 나온 힘이 바깥 물질들을 튕겨내는 공간이에요. 땅으로부터 80~40,000km 높이이지요. 방사능★ 물질의 기본 단위인 원자가 불안정할 때 빛을 뿜어내는 것을 이르는 말이에요. 이렇게 나온 빛은 물질을 통과하는 특징이 있는데, 이때 물질의 구조나 성질을 마음대로 바꿀 수도 있어서 ... ...
- [특집] 비바람 치는 날씨도 미리 알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여름에는 남서풍과 남동풍이 많이 불어요. 풍속을 잴 때는 땅에서부터 10m 이상 떨어진 높이에서 재요. 자동기상장치(AWS)라는 기계로 시시각각 달라지는 바람의 속도를 정확히 측정하지요. 풍속의 단위로는 km/h(시간당 킬로미터)와 m/s(초당 미터)를 사용해요. 바람이 1시간에 몇 km를 가는지, 또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하늘에서 안전하게 떨어지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부는 풍동을 설치했습니다. 이후 떠돌이도롱뇽과 함께 숲 바닥과 낮은 나무 등 다양한 높이에 사는 세 종의 도롱뇽을 풍동에 띄워 관찰했지요.그 결과, 떠돌이도롱뇽은 공중에서 떨어질 때 매우 안정적인 자세를 취한다는 점이 밝혀졌습니다. 떠돌이도롱뇽은 스카이다이버처럼 사지를 쭉 뻗으며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0화. 행성 공장의 유령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이걸 ‘뿜뿜이’라고 부르지요.”딱지는 셔틀에서 내려 대기조절기를 바라봤습니다. 높이가 100층은 될 법한 거대한 금속 피라미드였습니다. 맨 꼭대기에는 굴뚝 같은 게 있는데, 그곳에서 공기가 뿜어져 나오는 모양이었습니다.“난 산소가 없어도 상관없는데. 역시 로봇이 우월하다.”프로보가 ... ...
- [이달의 과학사] 1944년 7월 13일 루빅큐브를 발명한 루비크 에르뇌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가로×세로×높이가 3×3×3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정육면체 퍼즐, ‘루빅큐브’를 본 적 있나요? 정육면체를 이리저리 돌려가며 섞여 있는 색깔을 면마다 같은 색으로 맞추는 퍼즐이지요. 3×3×3 퍼즐뿐만 아니라 4×4×4, 5×5×5 등 다양한 종류가 있어요.이 퍼즐을 처음 만든 사람은 1944년 7월 13일에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부글부글! 화산폭발 관찰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가져와 블록 값을 ‘기반암’으로 바꾸세요. ➎ ‘계산-더하기’ 명령블록과 변수 ‘높이’를 가져와 중심 좌표에 화면과 같이 넣으세요.➏ 반지름 값에 변수 ‘반지름’을 가져와 넣으세요.➐ 방향을 ‘y좌표(위쪽, 아래쪽)’로 바꾸세요.➑ ‘변수-변수 값 증가’ 명령블록을 가져와 ... ...
- [가상 인터뷰] “저 좀 태워 주세요.” 아무 데나 붙어서 이동 가능한 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야생 동물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조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예를 들어 하늘 높이 날아 돌고래가 사는 곳을 찾아낸 뒤 물속에 들어가 돌고래에게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장치를 부착할 수 있죠. 다시 하늘로 올라가서 여러 동물이 사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고요. 웬 교수는 “현재는 이 ... ...
- [매스미디어] 태양의 서커스 : 뉴 알레그리아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막대가 아닌 공 3개로 저글링을 한다고 가정할게요. 곡예사는 첫 번째 공을 5초간 떠 있게 높이 던져요. 첫 번째 공이 공중에 있는 상태에서 재빨리 두 번째 공을 1초간 떠 있게 던지고 받고, 세 번째 공도 1초간 던졌다 받은 뒤 첫 번째 공을 받아요. 그리고 이 과정을 반복해요. 이를 ‘51법칙’이라고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