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양"(으)로 총 11,9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카이스트에서 의전원을? 의사공학자 탄생할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를 반영해 의전원 신설을 허가하면 설립할 수 있다. 그들이 주장하는 건 ‘공학’과 ‘다양성’이다. “의과학대학원을 운영해 보니 의사 출신 전일제 공학 연구자를 양성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라는 걸 알게 됐습니다.” 2023년 11월 13일 만난 김하일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는 “지금 운영되고 ... ...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관계를 발전시켰다. 이를 통해 프랭클린은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에 관한 결정학 연구를 다양한 과학자들이 국경과 분야를 넘어 협동하는 주제로 만들었다. 이처럼 프랭클린은 과학적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협력들을 이끌어내는 데 분명한 재능을 보였다. 그렇다면 그녀는 왜 DNA 구조를 ... ...
- 디지털 종이에 똑똑한 수학 기능 담다, 스티븐 챈 굿노트 CEO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정할 수 있어 훨씬 편리하며 효율적이지요. 또한, 디지털 종이에서는 하나의 펜으로 다양한 색을 쓸 수 있고, 써둔 글씨를 원하는 위치로 옮길 수 있어서 사고 과정에도 도움이 돼요. Q. 독자들에게 한 마디 해주세요. 저는 유용한 무언가를 만들어서 다른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드는 ... ...
- 수치예보모델 방정식 풀어 날씨를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변화를 더해 알아내기 때문이에요. 현재의 날씨는 하늘, 땅, 바다에서 고루 관측합니다. 다양한 장비로 전 세계에서 관측한 기온, 습도, 바람, 구름량 등의 기상 자료는 통신을 통해 기상청에 실시간으로 전달되지요. 관측 자료는 지구를 바둑판처럼 나눈 수억 개의 사각 격자에 들어가고, 지난 ... ...
- [헷갈린 과학] 하나는 양서류? 하나는 파충류? 도룡뇽 vs 도마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숨을 쉬지요. 그래서 도마뱀은 열대 지방의 건조한 사막이나 온대 지방의 초원까지 다양한 곳에 고루 분포해 살고 있어요. 피부에 비늘이 없는 도롱뇽과 달리, 도마뱀의 몸은 비늘로 덮여 있어요. 단단한 비늘이 몸 안의 열을 밖으로 내보내거나, 외부의 열을 차단해 줘 체온을 잘 조절할 수 있지요. ... ...
- [통합과학교과서] 신기술로 다리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있지 않은 다른 신경세포와도 시냅스●라는 구조를 통해 화학적 신호를 주고받으며 다양한 정보, 명령을 받아들이거나 전달할 수 있지요. 신경세포에는 크게 3가지가 있어요. 감각을 담당하는 감각 신경세포, 뇌와 척수 등 중추 신경계를 구성하는 연합 신경세포, 연합 신경세포 명령을 근육 등에 ... ...
-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파피루스를 읽어내는 챌린지를 열자고 제안했다. 여기에 프랑스 학사원이 주최를 맡고, 다양한 후원자들이 후원금을 모아왔다. 베수비오 챌린지는 이렇듯 많은 이들이 모여 탄생했다. 실스 연구팀은 그동안 촬영한 고대 파피루스의 3차원 X선 스캔 데이터들과 함께 가상적 펼치기 기술의 컴퓨터 ... ...
- 쓸 줄 모르면 손해! 생성AI 똑똑한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실시했다. 네이버는 ‘커넥트 재단’을 운영하며 유아부터 청소년, 일반 대중까지 다양한 이들을 대상으로 AI, 소프트웨어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소프트웨어야 놀자’라는 교육 프로그램은 AI 교육의 기회에서 소외되는 지역이 없도록 전국의 청소년에게 제공된다. 김 교수는 “대국민적인 ...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평부터 정말로 종이 빨대가 플라스틱 빨대보다 더 환경에 좋을지 궁금하다는 의문까지 다양한 목소리가 나왔다. 이러한 목소리는 과학동아 독자들의 답변에서도 드러났다. “종이 빨대는 나무를 베서 만드는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므로 종이 빨대보다 플라스틱 빨대가 더 친환경적이라는 ... ...
- [커리어] 매일 전기 1kWh를 아끼면 무슨 일이? 지역 청소년 에너지 교육 '2023 신바람 에너지 스쿨 '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한국 에너지믹스 중 약 30%를 차지하는 원자력발전 등 에너지 시스템 전환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소개했다. 탄소를 흡수하는 방법도 학생들의 관심을 끌었다. 나무나 숲, 열대우림 등 육상의 식물이 탄소를 흡수하는 방법(그린카본)과 갯벌이나 해양생물 등이 탄소를 흡수하는 방법(블루카본)을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