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기자단] 시상식 취재와 MIT 과학자 인터뷰를 한 번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MIT) 물리학과 최순원 교수였습니다. 최순원 교수는 지난 2017년 미국 하버드
대학
교에서 박사 과정 중 ‘시간 결정’을 세계 최초로 실험으로 구현해 국제 학술지의 표지를 장식했어요. ‘시간 결정’은 지난 2012년 MIT 물리학과 프랭크 윌첵 교수가 처음 이론적으로 제안한 개념입니다. 윌첵 교수는 ... ...
[과학 뉴스] 2000년 전 불탄 파피루스 속 글자를 읽어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참가자 중 첫 번째로 단어를 읽어내 4만 달러의 상금을 받았지요. 뒤이어 독일 베를린자유
대학
교 요제프 네이더는 같은 단어를 더욱 선명하게 읽어내 1만 달러의 상금을 받았습니다. 챌린지는 올해 12월 31일까지 이어집니다. 연말까지 두루마리에서 4개 이상의 구절을 제일 먼저 읽는 사람은 70만 ... ...
[가상 인터뷰] 연가시가 사마귀를 조종하는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그간 연가시가 어떻게 숙주를 조종하는지는 수수께끼였어. 그런데 10월 19일, 일본 고베
대학
교 사토 타쿠야 교수팀은 연가시가 숙주의 유전자를 훔쳐 숙주를 조종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 유전자를 훔치다니…! 어떻게 발견했어? 연구팀은 우선 사마귀를 연가시에 감염시켰어. 사마귀 ... ...
[출동, 슈퍼M] 초등학생의 평균 용돈은 얼마일까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22호
오랫동안 저축★하는 저금통이에요. 어른이 될 때까지 쓰지 않고 모아서 여행 비용이나
대학
등록금 등 돈이 많이 드는 일에 보태기 위한 것이지요. 마지막으로 ‘나누기’ 저금통은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 선물을 하거나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기부하기 위해 돈을 모아두는 곳이에요. 이렇게 ... ...
[특집] 어린이도 척척! 2023 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노벨위원회는 해마다 총 여섯 분야에서 ‘인류에게 가장 큰 이익을 가져다준 사람들’을 뽑아 상을 수여합니다. 올해 노벨 과학상은 많은 생명을 구한 mRNA 백신 개발의 주인공들, 전자의 움직임까지 포착하는 ‘아토 과학’ 시대를 연 과학자들이 수상했어요. TV 화면에서 선명한 빛을 발하는 나노 ... ...
[노벨 생리의학상] mRNA 백신으로 바이러스에 맞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세포로 들어가자 면역 시스템이 발동하며 염증 반응만 잔뜩 일어났기 때문이지요. 가톨릭
대학
교 의생명과학과 남재환 교수는 “우리 몸의 입장에서 보면, 외부에서 들어온 mRNA는 바이러스나 마찬가지”라고 설명했습니다. 커리코 박사와 와이스먼 교수는 세포 내의 면역을 활성화하지 않는 다른 ... ...
[노벨 화학상] 화려하게 빛나는 양자점을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작기 때문에 활용 가능성도 무궁무진하지요. 바웬디 교수의 제자이기도 한 포항공과
대학
교 화학과 김성지 석좌교수는 “TV나 태양전지 외에도 양자점이 빛을 내는 성질을 이용해 다양한 병을 진단하거나 환자의 증상을 확인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어요. 또 “양자점이 암세포에 달라붙어 빛나도록 ... ...
[현장취재] 해조류로 예술작품을 만들다! 하코다테 해양탐사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아름다운 자연의 색이 돋보였죠.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은 이어 오랫동안 일본 홋카이도
대학
교에서 수산 연구를 한 신동환 박사를 만났어요. 대원들은 신동환 박사의 설명에 따라 연어를 해부하면서 어류의 몸 구조에 대해 배웠습니다. “해부는 배설기관 아랫부분에서 시작해서 측선까지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창 너머 아른아른 전통 한지공예 무드 등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서식지가 파괴돼 멸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올해 2월 27일, 일본 고베
대학
교 스에츠구 겐지 교수팀은 처음 발견된 서식지에서 불과 29km 떨어진 곳에서 이 식물을 다시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요정 등불이 속하는 티스미아과 식물은 엽록소가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합니다. 대신 뿌리 ... ...
가위바위보는 한판 승부로!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22호
예를 들어 상대가 처음에 가위를 냈다면, 두 번째에 내가 바위를 내는 거예요. 중국 저장
대학
교 심리학 연구팀은 첫 번째 게임에서 이긴 사람이 두 번째 게임에서도 똑같은 손 모양을 내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