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양"(으)로 총 69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멋쟁이 스키 친척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줄 시간밖에 안 돼.프리스타일 스키는 회전에 높은 점수가 걸린 만큼 몸이 작고 유연한 동양 사람에게 유리해. 반지름이 작을수록 빠르게 돌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야. 이미 중국이나 일본이 프리스타일 스키 강국인 걸 보면, 머잖아 한국에서도 프리스타일 스키계의 박지성, 김연아가 나타날 거라 ... ...
- 1부. 아름다움의 비밀은 수학!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이는 약 3000년 전에 이용된 것으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보다 500년 정도 빠릅니다. 동양의 수학도 서양의 수학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는군요. 그렇다면 구고현의 정리가구체적으로 한옥의 어디에 쓰입니까?지붕을 한번 보시죠. 지붕 모서리에 추녀가 보이시나요? 추녀를 자세히 보면 *주심도리를 ... ...
- 호랑이, 넌 누구냐과학동아 l2010년 01호
- 호랑이가 그려진 빨간 통에 담긴 고약이 만병통치약으로 팔리던 시절이 있었다. 전통 동양 의학에서는 호랑이가 귀중한 약재였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호랑이의 뼈를 이용해 진통제를 만들었고, 베트남에서는 뼈를 류머티즘 약으로 썼다.인도에서는 호랑이의 지방층이 나병 치료에 효과가 있는 ... ...
- 미녀가 드문 이유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서구 여성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연구자들은 추가로 동양여성이나 남성,어린이의 얼굴에 대해서도 황금비를 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발전이 늦었다는 견해도 있는데요. 실제로도 그렇습니까?“아닙니다. 한국을 비롯한 동양의 수학은 서양의 수학만큼이나 발달했습니다. ‘구장산술’, ‘구수략’, ‘산학정의’와 같은 수학책이 남아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산학시험이라는 것이 있어서 이 시험에 합격해야 ... ...
-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과학동아 l2010년 01호
- 그러나 그런 상태에서도 어쩌면 뇌는 더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있는지 모른다. 마치 동양화의 여백이 단순히 비어 있는 것이 아닌 것처럼…. 편집자 주 ‘정신줄 놓다’, ‘뚜껑 열린다’처럼 우리 주위에는 말이 안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주 쓰는 관용어들이 많다. 과연 과학적으로도 말이 안 ... ...
-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정→기→신’의 철학 전통 한의학은 동양철학의 세계 인식방법에 근거를 두고 있다. 동양철학의 세계관은 하늘과 땅과 사람이 연결돼 있다는 것이다. 한의학 역시 인체의 구조와 기능이 하늘과 땅을 본받아 이뤄졌다는 천인상응이론(天人相應理論)을 따른다. 또한 인체를 소우주로 보기 때문에 ...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수학동아 l2009년 12호
- 가장 길어지는 순간부터 다시 그림자가 가장 길어지는 순간까지의 날 수를 세면 됩니다. 동양에서는 규표라는 도구를 이용해 그림자의 길이를 쟀지요. 수평으로 놓인 눈금자가 ‘규, 수직으로 놓인 막대가 ‘표’라 규표라고 불렀습니다. 이렇게 측정한 일 년의 길이는 약 365.2422일입니다.365일&0.242 ... ...
- 얼굴로 말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1호
- 감정을 표정으로 더 잘 표현한다고 해.문화에 따른 차이도 있는데, 우리나라나 일본 같은 동양 나라에서는 얼굴에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도록 배우기 때문에 표정이 약한 편이야. 반대로 서양인들은 감정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기 때문에 표정도 뚜렷해. 우리가 보기에 서양인들의 표정이 과장돼 ...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오르간은 파이프가 약 3만 5000개나 들어 있어 각기 다른 소리(음색)를 374개나 낼 수 있다. 동양에서 가장 큰 오르간은 서울 종로 세종문화회관에 있는데, 파이프 개수가 8000개를 넘을 정도로 으리으리하다.오르간은 파이프마다 내는 소리가 다르며 한 악기에 많은 파이프가 들어가기 때문에 음끼리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