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뜰
정원
바깥마당
지면
장소
영역
야드
d라이브러리
"
마당
"(으)로 총 3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실험동물 복지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생명과학 연구에 종사하는 인력을 10만명까지 늘린다는 ‘10만 양병설’이 나도는
마당
에 동물실험에 관한 제도 마련과 교육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국내에서는 2년 전부터 실험동물에 대한 관심이 대두됐다. 2005년 3월 서울대에는 ‘동물실험위원회’가 설치됐다. 동물실험위원회는 단과대나 ... ...
과학자도 놀란 창덕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박석 사이를 띄워 배수될 공간을 충분히 남겨뒀다. 비가 내리면 인정전의 지붕을 타고
마당
으로 물이 흘러내린다. 흘러내린 물은 지하로 빨리 배수돼 집수구를 통해 석실 구조로 이뤄진 배수로를 따라 궁 밖으로 나간다.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조경학과 이선 교수는 “창덕궁의 원활한 배수는 ... ...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조류 외에도 다른 멸종위기의 동물과 식물을 만나보고 싶다면 환경부 홈페이지의 정보
마당
(nre.me.go.kr/meweb/w02/w0201h01.jsp)에 들어가 봐. 주소가 좀 어렵지? 하지만 사진과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으니 꼭 가 보도록 해.멸종위기 조류 Ⅰ급검독수리짙은 갈색 날개를 펴고 하늘을 나는 검독수리야. 사계절 ... ...
서양귀신 VS 동양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귀신들이잖아. 진짜 무서운 귀신은 우리처럼 집에 사는 귀신들이라구. 화장실, 부엌,
마당
, 방안까지 우리가 없는 곳은 없지. 누군가 자기가 사는 모습을 항상 지켜보고 있다고 생각하면 등골이 오싹하지 않아?성주집을 지키고 보호해 주는 귀신조왕부엌에 사는 귀신손이사할 때 따라다니며 방해하는 ... ...
특집Ⅱ 노벨상 수상자가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때 그를 옹호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멀리스 박사는 자신의 자서전에 해당하는 ‘심령
마당
에서의 나체춤’이라는 책에서 어느 날 밤 운전하던 중에 갑자기 영감을 받아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발견해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다고 썼다. 물론 그가 개발한 방법은 DNA를 수만배까지 증폭시킬 수 있어 ... ...
조상님들은 옛날부터 골프를 즐기셨다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때문에 승마 솜씨를 기르는 데 무척 도움이 되었다고 해요.보행격구는 궁중이나 넓은
마당
여기저기에 구멍을 파놓고 걸어다니며 공을 구멍 속에 넣는 운동이었는데 현재의 골프와 무척 흡사한 방식이었습니다. 나중에 백성들에게 전파되어 장치기라고 불릴 때는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즐길 수 ... ...
식물을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잭에게 콩과 소를 맞바꾸자고 한다. 고민 끝에 잭은 콩을 갖기로 한다. 집에 돌아와 앞
마당
에 콩을 심은 잭. 다음날 아침 잭이 눈을 떠보니 콩나무가 하늘 끝까지 자랐다. 콩나무를 타고 하늘나라에 도착한 잭은 황금계란을 낳는 닭과 금주머니를 갖고 무사히 집으로 돌아온다. 노인이 잭에게 준 것은 ... ...
1. 반갑다, 태권로보트야!!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블루시걸’과 ‘원더풀데이즈’처럼 거대한 자본이 투입된 작품들도 흥행에 참패한
마당
에 30년 전 캐릭터의 부활에 의구심을 보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지도 모른다. 3D라는 새로운 형식이 과거의 추억을 훼손하지 않겠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오는 것도 사실이다.세월은 흘러 태권V를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교수의 복제개 스너피의 탄생소식도 모두 네이처에 첫 선을 보였다. 과학자들의 토론
마당
1869년 로커리, 헉슬리, 틴들 등 영국 엘리트 과학자들의 의기투합이 네이처의 출발이었다. 이들은 당시 종교적이고 형이상학적으로만 자연을 이해하던 일반인에게 올바른 과학지식을 전달해야 한다는 ... ...
4. 진실DNA를 캐낸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이번처럼 여론이 쏠려있을 때 다른 입장을 제기하기란 쉽지 않다. 논란을 촉발한 소리
마당
게시판도 그전까지 한 연구자의 연구나 특정 논문을 주제로 토론한 적은 거의 없었다. 대부분 이공계 인력 정책이나 처우, 연구비 집행정책같은 연구환경이나 현실적인 문제가 토론의 주제였을 뿐이었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