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원
무한
영겁
d라이브러리
"
무궁
"(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07. 사람 마음 읽는 감성컴퓨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아바타가 자신의 감성을 표현하는 생명체처럼 느껴지기 시작한다면 그 상품성은
무궁
무진해질 것이다.이처럼 인간의 감성을 파고드는 콘텐츠는 앞으로 더욱 매력적인 자기 표현 수단으로 각광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모든 콘텐츠가 5감 융합형 콘텐츠를 지향하게 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5감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위치기반서비스(LBS)가 있다.아직까지 크게 주목받고 있지는 못하지만 기술 진전에 따라
무궁
무진한 발전 가능성이 있다. 특히 위치 추적과 주변 지역 정보 검색은 LBS 기술의 핵심을 이룬다. 이같은 기술은 다방면에 응용된다.예를 들어 한 휴대폰 사용자가 특정 지역을 지나간다고 가정해보자. ... ...
2 새로운 초전도체 존재 예측 혼돈의 초유체 원리 밝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무궁
무진한 응용 가능성도대체 왜 사람들은 초전도체에 그토록 관심을 쏟을까. 바로
무궁
무진한 응용성 때문이다. 전기저항이 없기 때문에 초전도체로 만든 전자석은 일반 자석보다 수천배 강한 자기력을 가진다.초전도체의 응용 범위는 매우 넓다. 자기공명장치(MRI)를 비롯해 초전도 코일의 ... ...
1 화석연료 대체할 최적 후보 수소에너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물질로 구성돼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만약 이런 수소를 마음대로 추출해 사용할 수 있다면
무궁
무진한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는 점은 쉽게 생각할 수 있다.한계 다다른 천연가스 추출법수소는 1920년대부터 유럽과 북미지역에서 상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다. 전세계적으로 대략 4천억m3 정도의 수소가 ... ...
미생물유전체 활용기술 개발사업단 미생물 게놈 월드컵 4강 진입의 사령탑 오태광 단장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핵심 생물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오 단장은 미생물 연구의 매력으로 높은 효율성과
무궁
무진한 활용 가능성을 꼽는다. 미생물 유전체를 이루는 염기쌍은 1백만-4백만개 정도로 인간의 염기쌍이 30억쌍 정도인 것과 비교하면 미미하다. 최근 게놈 분석기술이 발달하면서 이 정도의 염기쌍은 하루 ... ...
제품·환경 접점 연구하는 소프트 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대상이 작은 옷핀에서부터 실내외 환경은 물론 우주를 비행하는 인공위성까지
무궁
무진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점차 디자인이 세상을 바꾸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고, 디자인이 세상을 비추는 거울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그러려면“이제는 잘 그리기보다 잘 생각하는 디자이너를 길러야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나노 물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개발은 현재 초기 단계지만, 앞으로의 발전가능성이
무궁
무진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전세계의 주도권 잡는다정보디스플레이 관련 산업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대만이 세계 3대 경쟁 구도를 형성하면서 승부를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반도체 기술의 뒤를 이어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가져올 것이다. 그만큼 나노 세계에는 일반인뿐만 아니라 연구자를 매료시키는 가능성이
무궁
무진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그마한 핀 머리에 24권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을 쓸 수 있고, 손바닥만한 크기의 슈퍼컴퓨터가 가능할 수 있다.그러나 그전에 나노세계에 대해 좀더 이해하고 알아야 한다.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주관하는 각종 화학반응이 단백질로 인해 이뤄진다. 따라서 인체 내 단백질의 수는
무궁
무진할 것으로 예상된다.하지만 단백질의 정확한 개수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 과학자에 따라 10만개니, 15만개니 말들이 많지만 ‘최소 3만개 이상’이라는 표현이 가장 정확할 것이다. 지난 2001년 2월 ... ...
참을 수 없는 호기심과 정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그들 덕분에 우리는 소리내어 웃을 수 있는 과학책을 종종 발견하게 된다. 어린시절의
무궁
무진한 호기심과 과학에 대한 순수한 열정이 담긴 멋진 책들이 여기에 있다.펭귄의 발은 왜 동상에 안걸릴까‘놀랄 만큼 간단한 과학의 역사’는 제목 그대로 과학사를 간추린 책이다. 그런데 보통의 과학사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