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의"(으)로 총 1,372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일일 과학자가 되어 연구 현장으로 풍덩! 민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실험실에서 교수님과 함께 민물고기의 생태를 파악하는 다양한 장비를 살펴봤어요. 물의 성분, 유속, 물고기 움직임을 기록하고 확인하는 각양각색의 탐사 장비를 볼 수 있었지요. 실험실 수조엔 우리나라 고유종인 버들치, 돌마자, 피라미 외에도 외래종 구피 등 다양한 물고기가 헤엄치고 있었어요 ... ...
- 빵 만드는 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빵 자판기는 작은 빵 공장이에요. 용기에 밀이나 곡물가루를 넣으면 반죽을 섞는 속도, 물의 온도, 내부 습도, 빵 한 덩어리의 반죽 무게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반죽을 만들어 90분 만에 첫 번째 빵을 만들어요. 이후 6분마다 새로운 빵이 나오고 하루에 235개의 빵을 만들지요. 한편, 즉석에서 ... ...
- [탐험대학] 하루종일 탐험, 우리는 우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봤지요. 심서현 학생(고양 백마초)은 “직접 만든 정화 장치를 통해 500g의 얼음에서 모은 물의 양은 총 480ml”라며, “달에서 살 때 하루 동안 물을 47L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얼음을 약 49kg 채굴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이어 “사전 미션을 통해 조사된 하루 물 사용량은 400~500L로, 이만큼 물을 만들려면 ... ...
- 붉은 수돗물, 어떻게 없앨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소화전을 열어 두면 물은 상수도관에서 소화전으로 흘러요. 이때 물을 세게 흘려보내면 물의 압력에 의해 관 벽에 낀 녹과 물때가 제거되는 거예요. 이외에도 공기를 밀어 넣거나 기계를 직접 관 속으로 넣는 방법도 있어요. 물을 이용한 청소보다 효과는 뛰어나지만 비용과 인력이 많이 든다는 ... ...
- 붉은 수돗물,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발생한 5월 30일, 땅 속에선 평소와 다른 일이 벌어지고 있었어요. 상수도관을 흐르는 물의 방향이 반대로 바뀌었지요. 인천 서구와 중구, 강화 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하던 공촌정수장 대신 다른 정수장에서 물이 공급됐거든요. 취수장과 가압장은 한강에서 물을 끌어와 공촌정수장까지 보내는 역할을 ... ...
- 붉은 수돗물 먹어도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강물에 녹아 있다가 산소와 만나면 녹을 만들지요. 두 성분은 건강에 해롭진 않지만 물의 색을 변화시켜 불쾌감을 줄 수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1L 당 철 0.3mg, 망간 0.05mg을 넘지 않으면 먹을 수 있는 물로 평가한답니다. 하지만 물 1L 중 망간이 0.02mg만 들어 있어도 노란색이 나타나지요. 고려대학교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눌러 고체 표면의 일부가 액체로 바뀐다는 것이었다. 고등학교 교과서에 등장하는 ‘물의 상평형 그래프(73쪽 그래프 참조)’를 보면 이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물의 상평형 그래프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물이 얼음이나 수증기로 바뀌는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다. 그렇다. 물은 온도가 아닌 ...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라벨을 마저 떼 낸다.이 때문에 접착제가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녹지 않거나, 라벨이 물의 비중인 1보다 무거워 용액 위로 떠 오르지 않으면 라벨을 완전히 분리하기가 어렵다. 자원재활용법 하위법령 개정안에 따르면 페트병 라벨 중 비중이 1 미만이며 절취선 등을 도입해 분리하기 쉽도록 만든 ... ...
- [섭섭박사 실험실] 데굴데굴 물방울 구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프라이팬 위의 물은 구슬처럼 굴러다닌답니다. 프라이팬이 너무 뜨거우면 팬과 접촉한 물의 표면이 순간적으로 끓으면서 물과 프라이팬 사이에 ‘증기막’을 만들어요. 이 증기막이 물방울을 팬으로부터 밀어내면 물방울은 구슬처럼 굴러다니지요. 또한 증기막은 프라이팬의 열이 물방울에 직접 ...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아이스크림은 주로 원유와 당분, 물을 섞어 만든다. 이때 원유의 지방 성분인 유지방과 물의 비율에 따라 식감이 달라질 수 있다. 유지방이 10% 이상인 소프트 아이스크림은 유지방이 얼음 결정의 생성을 억제해 부드럽게 느껴진다. 우유를 얼린 ‘우유 얼음’을 사용하는 눈꽃빙수가 일반 빙수의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