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테리아"(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생명력은 우주에서도 증명됐어요. 2008년 유럽우주국(ESA)에서는 국제우주정거장 바깥에 박테리아와 각종 씨앗, 지의류와 조류를 아무 보호 장치 없이 붙여놨어요. 우주공간에 지구 생물이 그대로 노출될 경우 어떤 영향을 받을지 알아본 거지요.이 생물들은 우주에서 18개월 동안 지구보다 1000배나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유전자를 이어 붙인다’는 뜻으로 쓰이는 용어다.합성생물학 연구자들은 영화와 달리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같은 미생물 수준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아직 이 정도밖에 다루지 못한다). 그러나 미생물이든 고등 생명체든 합성생물학이 인류에게 위협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사진 자료를 사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망막의 유리체나 뼈 속의 구연산 성분, 맹장 속의 박테리아 군집, 시신 주변 흙의 화학 성분 등 시체는 물론 그 주변 환경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시체농장에서 진행하고 있다.온도나 습도, 동물의 활동 등 다양한 요인이 시신의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수소로 구성된 박테리아와 수산화 이온이 만나면 수산화 이온과 수소가 결합하면서 박테리아가 분해된다. 수소와 결합한 수산화 이온은 물 분자로 증발하기 때문에 살균 후에 농약처럼 잔류하는 물질이 없다는 게 장점이다. ● 농식품 저장감귤, 딸기 등의 과일을 동남아 지역에 수출할 때 가장 큰 ... ...
- [Tech & Fun] 화성 기지 짓는 첨단 기술과학동아 l2016년 04호
- NASA는 우주 환경에 생존할 수 있으면서 광합성을 하는 가장 단순한 생명체인 시아노박테리아를 화성 현지에 보내 산소나 다른 물질을 만들어 낼 수 있는지 검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Mission2 행성 과학 실험화성에 한국의 기지를 짓는다면 아마도 초기에는 남극 기지와 같은 과학기지 형태가 될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다룰 수 있게 됐습니다. 이번에는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광환 생명과학과 교수가 박테리아 형질 전환 실험을 하는데요. 흥미로운 주제기 때문에 저도 꼭 참관할 예정입니다.현재는 우리 학과 학생 대부분이 졸업 후 교사가 됩니다. 앞으로는 학생들이 더 다양한 분야에서 일할 수 있게 도울 ... ...
- [숲이야기 둘] 숲을 살리는 겨우살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제대로 나기 어려워졌지요. 또 땅에 떨어진 겨우살이 잎을 분해해 영양을 흡수하는 박테리아나 곤충, 무척추동물들도 피해를 입었답니다. 이 때문에 외국에서는 겨우살이를 산림생태계의 ‘핵심종’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어요. 우리나라 겨우살이가 위험해?!겨우살이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 ...
- [과학뉴스] 떨어뜨린 음식, 5초 안에 먹으면 OK?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누구나 한번쯤 땅에 떨어뜨린 음식을 다시 주워 먹을지 말지 고민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흔히 5초 안에 주우면 괜찮다고 알려져 있는데, 과학자들이 직접 증명 ... 로버 연구원은 “면직물인 카펫은 평평한 바닥에 비해 음식과 접촉하는 면이 적어 박테리아가 이동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
- 붉은 원숭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활동해요. 잎을 주식으로 먹기 때문에 뱃 속에 나뭇잎의 셀룰로오스를 분해할 수 있는 박테리아를 가지고 있지요. 또한, 필요한 수분을 모두 먹이를 통해 공급받기 때문에 물을 마시러 땅에 내려올 필요가 없답니다.붉은정강이두크는 멸종 위기 등급에서 ‘위기’ 상태에 놓여 있어요. 사람들이 이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특성을 연구하고 있고, 2014년에는 스스로 개발한 기법을 응용해 단백질보다 크기가 큰 박테리아의 구조를 X선으로 관찰했다.김 교수는 “새로운 분야를 연구하다보니 안정적이지 못하고 학회를 가도 같은 주제로 얘기할 사람이 없어 외롭지만,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연구한다는 사실이 즐겁고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