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사"(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2030 달 찍고 화성 간다! 아르테미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2030 달 찍고 화성 간다! 아르테미스Part1. [기획] 발사 준비됐나? 아르테미스 1호Part2. [기획] 2022년은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 만나는 해!Part3. [기획] '마르스'를 향한 아르테미스의 기나긴 ... ...
- [기획] 2022년은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 만나는 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실려 달에 착륙할 예정이에요. 또한 현재 계획 중인 우리나라 달 착륙선은 2030년 근처에 발사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편광지도 : 달 표면에 일정한 방향의 빛을 쏘아 반사되는 빛으로 분석한 지도.●라그랑주 점: 두 천체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점으로, 물체가 이곳에 도달하면 중력의 영향을 받지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친절한 우왁족과 거대 괴물 부르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귀를 의심했습니다. 우왁족이 계속 설명했습니다. “부르르는 가끔 땅 위를 향해 오줌을 발사한다. 그 오줌이 땅에 고여서 연못이 되는데, 우리는 그 오줌을 퍼다가 집을 따뜻하게 덥힌다.”“자, 잠깐만요. 그럼 아까 우리가 몸을 데운 온천이….”딱지가 더듬거리며 해롱 선장과 용용을 ... ...
- [핫이슈1] 치면 안타 되는 속도와 각도는? 한국형 배럴 타구!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속도가 155km/h 이상이면서 발사 각도가가치 높은 타구는 타구 속도가 153km/h 이상이면서 발사 각도가일 때 생겼지요. 김성곤 : 아래 그래프는 타구 각도를 x축, 타구 속도를 y축으로 하는 좌표평면에 홈런은 주황색 점, 플라이 아웃은 파란색 점으로 찍은 거예요, 두 점의 집합을 가르는 경계선은 ... ...
- 암흑물질의 추적자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다양한 산업이 자라납니다.” 지구로부터 150만 km 떨어진 우주에는 지난해 12월 25일 발사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있다. 암흑물질이란 개념을 처음 탄생시킨 스위스의 천문학자 프리츠 츠비키가 그랬듯, JWST의 우주 관측 데이터를 통해 암흑물질의 흔적을 찾으려는 과학자들이 있다. 그중 한 ... ...
- [특집] 우주선을 타고 날아서 슝~!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몸통 박치기!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해 11월 다트(DART)라는 이름의 우주선을 발사했어요. 다트의 임무는 지구로부터 약 1100만km 떨어져 있는 천체 ‘디모포스’와 ‘몸통 박치기’ 하기! 소행성에 우주선을 충돌시켜서, 움직이는 방향을 바꾸는 게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랍니다. 만약 ... ...
- [놀이북] 외계인에게 띄우는 편지, 골든레코드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11호’에는 인류 문명을 여러 그림으로 새긴 금속판이 들어있었지요. 또 1977년 발사된 ‘보이저 1호’와 ‘보이저 2호’에도 지구의 여러 언어, 새 소리, 파도 소리 등 다양한 소리가 담긴 골든레코드(황금 음반)가 들어있었어요. 겉면에는 음반을 재생하는 방법과 지구를 설명하는 그림을 그렸답니다 ... ...
- 겁쟁이, 꼬맹이, 또는 변덕쟁이... 암흑물질을 낚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이용해 암흑물질의 흔적을 잡는 아이스큐브(IceCube)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지난해 12월 발사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인류가 만든 가장 밝은 눈으로 암흑물질의 흔적을 찾는다. 암흑물질이란 개념이 생긴 지 90여 년이 흘렀다. 그야말로 지구 안에서 그리고 지구 밖 우주에서 암흑물질을 찾기 위한 ... ...
- [스티브쌤코딩-마인크래프트] 파쿠르 게임 2탄 복불복 요소를 넣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따라 달라져요. 예를 들어 복불복 변숫값이 1이면 빨간색 콘크리트 블록 위에서는 화살을 발사하고, 파란색 콘크리트 블록 위에서는 공중부양 효과를, 노란색 콘크리트 블록 위에서는 점프강화 효과를 부여해요. 12 ‘코드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 채팅명령어 ‘ ... ...
- [수학으로 발사! 누리호] 지구를 떠나자! 한국형 발사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에너지가 0보다 작으면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보다 크다는 뜻이므로, 발사체는 지구를 탈출하지 못해요. 반면 역학적 에너지가 0보다 크면 운동에너지가 위치에너지보다 더 커서 지구를 탈출할 수 있어요. 따라서 역학적 에너지가 0일 때의 속도가 탈출 속도가 된답니다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