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카테고리
테두리
한계
영역
범위
항해
분류
d라이브러리
"
범주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량 가격경쟁력 면에서 LNG가 우세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5~15%라는 것은 공기중에 5~15%의 가스가 존재할 때 불꽃이 주어지면 폭발이 되는
범주
를 말한다. 이 범위를 벗어나 5% 이내(하한치)로 존재하거나 15% 이상(상한치)의 가스가 공기중에 섞여 있으면 불꽃이 있어도 폭발은 일어나지 않는다. 안전성 확보위해 환기 필요가정에서 전기제품 사용시 감전에 ... ...
오진, 불가항력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문제다. 또 시험개복(試驗開腹)과 같이 일종의 진단적 의미를 지니는 수술사례를 오진의
범주
에 넣는 것 등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는 것이다.그러나 이같은 의학계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오진에 대한 시비와 이와 관련된 의료분쟁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따라서 국가와 국민, 의료계 모두가 이에 ... ...
아인슈타인의 인과율에 도전하는 초감각지각(ESP)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우호적인 반응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많은 심리학자들이 이를 심리학의
범주
에 포함시키기를 꺼리고 있다. 그 이유는 초심리학이 다루는 내용의 과학적 기반이 여타 학문보다 매우 취약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1969년 미국과학진흥협회(AAAS)에 초심리학회가 가입되면서부터 점차로 많은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부르는데 적어도 6백~7백℃ 이상의 환경에서도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는 소재가 이
범주
에 든다. 흔히 텅스텐 코발트 니켈 등의 내열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웬만한 고온환경에서는 철-니켈합금도 통용된다."최근에는 초내열합금을 분말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고 말한 한국기계연구소 ... ...
PC통신 확산의 밑거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관한 많은 기능들이 추가됐음을 알 수 있다. 마우스와 귀여운 아이콘(icon)의 지원이 이런
범주
에 속한다. 우수한 통신소프트웨어의 발표와 지속적인 버전업(version-up)을 통해 많은 컴퓨터사용자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하늘소팀의 노력에 찬사를 보낸다 ... ...
"현재는 과거의 열쇠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비교 판단하도록 하자는 말은 언뜻 생각하면 공정한 듯 하나, 그에 앞서 창조론을 과학의
범주
에 속하는 다양한 이론 가운데 하나로 볼 수 있느냐가 밝혀져야 한다 ... ...
비전문가의 아전인수식 해석은 곤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비판하는 내용이 없어 발전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다. 이러한 점에서 창조론은 과학의
범주
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다. 과학과 관련된 직을 갖고 있는 일부 인사가 일반대중을 상대로 자신들의 종교를 과학으로 위장해 오도하는 것이며 그것은 과학이 아니다.과학자의 언어가 과학으로 이해되기 ... ...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된 것이지요.허운나-흔히 '컴퓨터교육'이라고 뭉뚱그려 말하지만 크게 나눠 세가지가 이
범주
에 포함됩니다. 먼저 컴퓨터에 관한 교육(about computer)은 하드웨어의 구조나 프로그래밍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컴퓨터와 함께하는 교육(with computer)은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해 글짓기를 한다든가 프린터로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그것은 왜 공상소설이나 공상과학소설이 아닌 과학소설이어야 하는가. 과학소설의
범주
는 어디까지인가. 질문은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아서 클라크와 함께 정통 과학소설의 양대 산맥을 이룬다해도 과언이 아닐 아이작 아시모프는 "과학소설은 일반 과학이나 다른 종류의 문학에서 맛볼 수 없는 ... ...
과학기술의 힘으로 물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폐수처리 등에 응용될 수 있다.지금까지 예로 든 신기술은 주로 화학공학 및 생물공학의
범주
에 속하는 것으로서 이외에도 토목공학 약학 의학 생물학 화학 해양학 등 많은 분야가 환경보전에 직접 간접으로 관련되어 있다. 또한 환경보전 기술의 개발은 한 개인이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