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문
석사
d라이브러리
"
석사논문
"(으)로 총 294건 검색되었습니다.
욕 속에 독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19세기 프랑스 문학계를 주름잡았던 시인 샤를 보들레르는 말년에 뇌발작을 일으켜 말하는 능력을 잃었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그가 유일하게 했던 한 마디가 최근 밝혀졌다. 그가 내뱉은 단어는 ‘Crenom’이라는 프랑스어 ‘욕’이었다. 연구를 주도한 스위스 인지신경과학연구소 세바스티안 디에 ... ...
물고기에게 '맞춤형 가옥'을 지어줍니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바다의 생물을 연구한다며 실험실에만 있을 수는 없잖아요?”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이하 남해수산연구소) 자원관리조성팀 김잔디 연구원의 일터는 바다다. 그는 1년의 절반은 1.5톤도 안 되는 작은 어선을 타고 바다에 나가 그물로 물고기를 잡는다. 바다에 인공어초를 설치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19세기 후반 영국의 사진가 이드위어드 머이브리지의 작품은 세상을 놀라게 했다. 말을 타는 기수의 모습을 담은 연속사진이었는데, 안장 위에서 들썩이는 기수의 엉덩이며 박진감 넘치는 말의 다리 근육까지 마치 살아있는 듯한 느낌을 자아냈다.한 사진가의 기발한 실험에서 과학자들은 초고속카 ... ...
국내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권위자 박성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한국전자통신연구소의 연구진들이 32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독자설계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 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개발은 우리나라가 16메가 D램을 개발, 메모리용 반도체분야에서 선진국에 진입한 것과 맞먹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개가로 평가되고 있다.…”1990년 10월 24일 서울경제 ... ...
한국 조선공학계 최고의 여성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최초’는 ‘최고’의 걸림돌이 될 수 없다 “요트처럼 아름다운 배를 만드는 게 꿈이었지만 지금은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설계하고 있어요.” 대우조선해양(주) 선형연구개발팀의 이연승(39) 연구원은 한국 조선공학계 최초의 여성 박사다.그는 부산대 대학원에 진학할 때도 조선공학 분야에서 최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과학만 잘 하면 평생이 보장되는 시대가 열렸다. 지난 3월 22일 과학기술부는 ‘요람에서 황혼까지’ 이공계 인력을 완벽하게 양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과학영재의 조기 발굴부터 퇴직한 과학기술인 활용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친 프로그램을 만든 것.이미 선진국에서는 ‘인력이 경쟁력’이 ... ...
5. 대한민국 쿨한 알파우먼 5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글로벌 리더 꿈꿔온 카멜레온 CIO '장연아'"소녀들이여 야망을 가져라!" - Girls, be ambitious!“스타워즈, 스타트렉 같은 SF를 즐겼는데, 우주선이 드넓은 우주를 어떻게 맘대로 다닐까 궁금했어요. 가만 보니 우주선을 조종하는 핵심에는 컴퓨터가 있더라고요. 그때부터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컴퓨터의 ... ...
디스플레이 선구자 한민구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디스플레이를 연구하는 엔지니어에겐 우리의 독자 기술로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는 것이 최대의 축복이죠.”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FT-LCD)의 세계적 권위자인 한민구(59) 교수에게 ‘축복받은 공학인’ 인터뷰를 청하자 나온 첫마디다. LCD 산업의 불모지였던 대 ... ...
우주실험 임무 걱정 마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대한민국 최초 우주인의 임무를 기필코 완수하겠습니다.”8개월이라는 긴 선발 과정을 통해 1만 8103대 1이라는 경쟁률을 뚫고 우주인 최종후보로 뽑힌 고산(31) 씨와 이소연(29) 씨. 이들은 한마디로 ‘강인한 체력의 젊은 과학자’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최기혁 우주인사업단 ... ...
MEMS는 미래기술의 해결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지름이 1.6mm인 핀의 머리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내용을 모두 써넣을 것이며, 극히 작은 기계들이 등장해 원자 하나하나를 조작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작은 기계들이 작동할 때 생기는 부품의 마모 문제도 중요해질 것입니다.” 양자전기역학 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리처드 파인만이 1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