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d라이브러리
"
세균
"(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십억 개의 바이러스가 내려앉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바이러스의 개체 수는
세균
보다 평균 약 50배 많았고, 지역에 따라 최대 461배까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렇다면 공기가 없고 방사선이 가득하며 기온이 극과 극을 오가는 우주 공간에도 이런 바이러스들이 살고 있을까. 사실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증식이 시작된다. 잠복기는 8~10년으로 매우 길다.자신의 유전체를 숙주인 박테리아 (
세균
)의 DNA 속에 끼워 넣어 감염 시키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는 아예 다른 전략을 구사한다.가령 대장균을 감염시키는 박테리오 파지인 T4 파지는 대장균의 DNA 속에 자신의 유전체를 넣는데, 곧바로 자손을 ...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약골이었지만, 어쩐 일인지 스페인 독감만은 이겨내고 81세까지 살았다. 특정 박테리아(
세균
)나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물질(항원)에 노출됐을 때 목숨을 잃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이를 극복하는 사람이 있다. 그 차이는 바로 인체의 면역시스템에 있다.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은 내 것이 아닌 외부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루리아가 이를 밝혀내며 바이러스 연구는 한 단계 도약했다. 세 과학자는 박테리아(
세균
)를 숙주로 삼는 바이러스 그룹인 박테리오파지를 연구했다. 이들은 1940년대부터 박테리오파지를 연구하는 미국의 비공식연구단체 ‘파지 그룹(phage group)’을 결성했다. 박테리오파지는 1915년 영국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당시 면역학자들은 병원체 침투 시 일어나는 면역반응을 연구하기 위해 박테리아(
세균
)를 배양했다. 박테리아는 빠르게 번식하는 생명체이기 때문에 그 양을 조절하기가 어려웠다. 면역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항원의 양을 정확히 측정해야 하는데 박테리아로는 어려운 일이었다. 보르데는 토끼의 ... ...
[통합과학 교과서] 정전기를 피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주변의 공기 중에는 셀 수 없이 많은 입자들이 떠 다녀요. 에어로졸 형태의 침방울이나
세균
, 작은 먼지까지 그 종류도 다양하지요. 그런데 이 입자들이 빛을 받으면서 (+)나 (-) 전하를 띠게 돼요. 어떤 물질이 빛 에너지를 받으면 갖고 있던 전자를 빼앗기기 쉽거든요. 그럼 이 물질은 (+) 전하를 띠고,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만드는 유전자였다. 연구팀은 바이러스가 스스로 리보솜을 만드는 건 아니지만, 숙주인
세균
이 바이러스 자신의 유전자를 더 많이 복제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본래 정해져 있는 상식을 깨부수는 것이 파급력이 있듯, 기존 생물 분류의 관념을 깨는 바이러스 연구 결과들이 ... ...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생물학 무기로 연구된 탄저균은 호흡기에 감염될 경우 사망률이 50~80%에 이르는 치명적인
세균
이다.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만드는 비용도 저렴할 뿐만 아니라 흰색 가루 형태로 운반할 수 있어 살포도 쉽다.실제로 미국 육군전염병연구소에서 근무하던 한 연구원이 2001년에 탄저균이 들어있는 편지를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우리 몸속에도 장내미생물만큼 많은 수의 바이러스가 살고 있다. 지구상에서 박테리아(
세균
)를 숙주로 삼는 바이러스를 통칭하는 박테리오파지의 무게를 더하면 전 세계 코끼리를 합한 무게의 1000배가 넘는다. 문제는 인간에게 낯선 바이러스가 인간을 숙주로 삼을 때 발생한다. 낯선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한계를 깨달은 과학자들은 시험관에서 바이러스 배양에 도전했다. 바이러스는 박테리아(
세균
)와 달리 인공적으로 번식시킬 수 없었다. 오직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기 때문이다. 1948년 미국 보스턴아동병원 교수였던 존 프랭클린 엔더스와 토머스 허클 웰러 그리고 프레더릭 채프먼 로빈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