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셀"(으)로 총 6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따라 우울감을 조절하는 뇌의 활성 정도가 달라진다는 연구결과를 2016년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실험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실험을 진행했다. 어릴 때부터 식구들과 모여 산 ‘대가족 쥐’와 혼자 자란 ‘독신 쥐’다. 연구진은 이들이 성체로 자란 후 자기공명영상(MRI)을 촬영해 ... ...
- Part 1. 비장애인과도 겨룬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것도 헛된 상상이 아니다. 우리는 ‘장애인’이라 뭉뚱그려 부르지만, 장애의 모습은 셀 수 없이 다양하다. 같은 하반신 절단 장애인도 한쪽 발목이 없는 사람, 한쪽 종아리가 없는 사람, 두 다리가 없는 사람 등 종류가 무한에 가깝다. 그래서 공정한 규칙을 찾는 건 중요한 숙제다. 공정함을 위해 ... ...
- [과학뉴스] 햄버거, 피자 좋아하면 만성 염증 생긴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튀기거나 기름진 서구 식단이 몸에서 염증 반응을 유도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1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방이 21.2%를 차지하는 서구 식단을 한 달간 먹인 쥐와 지방 14%, 단백질이 25%인 식단을 먹인 쥐의 혈액 성분을 비교했다. 그 결과 서구 식단을 먹은 쥐의 혈액에서 ... ...
- [과학뉴스] 몸무게 3kg만 달라져도 생체분자 바뀐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몸무게가 늘거나 줄 때 몸이 어떻게 변하는지 분자 수준에서 밝힌 연구결과가 나왔다. 마이클 스나이더 미국 스탠퍼드대 유전학과 교수팀은 ... 파악할 수 있다”며 “미래에 개인 맞춤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셀 시스템스’ 1월 17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cels.2017.12.01 ... ...
- 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과정에 의해 만들어진다. 각 눈결정이 만들어지는 환경이 너무 다양하기 때문에 셀 수 없을 만큼 여러 모양의 눈결정이 생긴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앞서 살펴본 것처럼 온도와 얼음에 대한 물의 포화수증기압의 차이에 따라 큰 분류만 해놓은 상태다. 그런데 눈결정이 자라는 모습을 수학으로 ... ...
- [Culture] 이황화결합과 가교결합, 크루아상 & 애플파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잘라 돌돌 말은 다음, 양끝을 살짝 구부려 초승달 모양으로 빚으면 완성됩니다. 이렇게 셀 수 없이 많은 층 사이사이에 버터가 발라진 반죽을 오븐에 구우면, 버터는 녹아내리고, 그 사이에 있던 밀가루 반죽이 더 많은 층을 만듭니다.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외강내유(外剛內柔)’의 식감이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글라이더에 가솔린엔진을 달아 동력 비행기를 만들었어요. 이를 위해 수많은 책을 읽고 셀 수 없이 많은 실패를 반복했지요. 그리고 마침내 1903년 12월 17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키티호크 해안에서 세계 최초의 동력 비행에 성공했어요. 이때 라이트 형제가 만든 비행기의 이름은 ...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고장이 나거나 임무를 마친 인공위성에서 수 마이크로미터의 입자들까지…. 현재 셀 수 있는 쓰레기만 2만여 개가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답니다. 특히 큐브샛은 지난 2003년 처음 발사된 이후, 더 자주 더 많이 발사되고 있어요. 최영준 천문연구원 우주감시센터 박사는 “현재 선진국을 중심으로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노화를 막을 방법은 없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두 종류의 세포는 서로 수를 많게 하려는 경쟁을 펼쳐요. 정수 남매: 조아나 메이셀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생태학 및 진화생물학과 교수팀은 두 세포의 경쟁능력을 나타내는 함수와 세포 간 경쟁이 생명력에 기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로 생물의 노화 수준을 알려주는 모형을 개발했어요.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따라 활성화되는 패턴이 다르고 이를 통해 얼굴을 인식한다는 열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doi:10.1016/j.cell.2017.05.011). 제니퍼 애니스톤 세포는 결국 여러 얼굴 인식 세포 활동의 조합인 제니퍼 애니스톤 ‘패턴’의 일부였던 셈이다. 얼굴 인식 기능도 학습으로 발전지금도 뇌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