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다"(으)로 총 311건 검색되었습니다.
-
- 이팔청춘의 숫자,16수학동아 l2012년 09호
- 16은 이팔청춘의 수다. 이팔청춘은 말 그대로 나이가 이팔(2×8), 즉 16살 전후의 젊은이를 뜻하는 말로, 아이돌 그룹 틴탑이나 수학동아 독자들만 한 때를 가리킨다. 또한 16=2⁴으로 2를 네제곱한 숫자다. 제곱수는 여러 가지 퍼즐이나 기하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16과 관련된 재미난 이야기가 많다. ... ...
-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과학동아 l2012년 09호
- 기사와 말이 통하지 않아서 수첩에 ‘Rupelmonde’라고 써서 보여줬다. 옆에 서 있던 승객과 수다를 떨며 운전하던 기사가 마침내 어느 정류장에서 내리라고 손짓했다. 내리고 보니 주위에 사람도 없는 게 분위기가 이상했다. 만나기로 약속한 가이드 개비 데푸이트 씨에게 전화를 걸었다. 서로 잘 ... ...
-
- [생활] 유희의 수, 15수학동아 l2012년 08호
- f(14)=0이고, 15 뒤에 14가 있으므로 f(15)=1이다. X=1이고 빈 칸이 4행에 있으므로 Y=4, X+Y=5로 홀수다. 그런데 15퍼즐은 아무리 움직여도 X와 Y의 변화량의 합이 짝수라는 특징을 갖기 때문에, 14와 15가 뒤바뀐 상태의 X+Y가 홀수(5)라면, 퍼즐을 움직인 뒤 X+Y의 값도 홀수여야 한다. 하지만 1부터 15까지 ...
-
- 미스터리 보고서 만약 좀비가 있다면?수학동아 l2012년 08호
- 예측할 수 있다. 도함수란 원래 함수에서 순간적으로 변화한 값을 치역으로 갖는 함수다.좀비의 확산은 3개의 방정식으로 표현된다그런데 일반 전염병과 달리 좀비는 죽은 사람도 부활해 좀비가 된다. 따라서 연구팀은 상황에 맞게 전염병 모델을 수정했다.기존 전염병 모델에서는 사람을 예비 ... ...
-
- [시사] 수학으로 배우는 서커스 마다가스카 3수학동아 l2012년 07호
- 많은 사자 알렉스, 수다쟁이 얼룩말 마티, 듬직한 하마 글로리아, 조심스러운 기린 멜만 등 미국 뉴욕의 동물원을 떠나 마다가스카 섬과 아프리카를 여행하던 동물들이 다시 돌아왔다. 게다가 이번엔 유럽과 미국의 멋진 도시를 돌며 서커스에 도전한다. 새로운 서커스에 도전하기 위해선 수학도 ... ...
-
- 편견에서 벗어나고픈 13의 매력 발산!수학동아 l2012년 06호
- 따라서 두 자리 자연수 10a+b의 제곱수는 세 자리의 자연수이거나 네 자리의 자연수다.첫 번째로 두 자리 자연수 A=10a+b를 제곱해 백의 자리가 x, 십의 자리가 y, 일의 자리가 z인 세 자리 자연수 X=100x+10y+z가 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때, A의 각 자릿수를 바꾼 B=10b+a를 제곱하면 X의 각 자릿수를 ... ...
-
- 언터처블 : 5의 비밀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수가 될 수 없다. 하지만 2는 어떤 자연수의 진약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으므로 불가촉 수다. 불가촉 수를 몇 개만 나열해 보자.2, 5, 52, 88, 96, 120, 124, 146, 162, 188 …위 숫자들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숫자는 두 번째 불가촉 수인 5다. 왜냐 하면 나열된 불가촉 수 중 5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는 모두 .. ...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수학동아 l2012년 05호
- ‘풀림수’는 복잡하게 꼬여 있는 매듭에서 교차점을 몇 번 바꾸면 풀리는지를 나타내는 수다. 풀림수가 1이면 한 번 교차점을 바꾸면 풀리고, 2이면 2번 교차점을 바꿔야 풀린다. 풀림수가 클수록 잘 풀리지 않는 매듭이 된다.이와 같은 수학자들의 연구를 토대로 매듭은 다양한 발명품에 활용되고 ... ...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있는 염기 서열 데이터량(30억 쌍 또는 60억 개, 1개를 1바이트로 보면 6GB)보다 약간 작은 수다. 60억 염기서열은 1초에 하나씩 한 번 읽기만 하는 데도 90년이 걸리는 빅데이터다.하늘로 눈을 돌려보자. 우주 전체를 디지털 데이터로 만드는 ‘슬론 디지털 우주 조사(SDSS)’ 프로젝트는 하루 200GB의 천문 ... ...
-
- 우주에 또다른 내가 산다?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우리 조각우주에서 입자가 조합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10을 10의 122제곱만큼 제곱한 수다. 조각우주의 크기가 820억 광년이므로, ×820억 광년 거리마다 나를 한 명씩 만날 수 있는 셈이다.조각우주는 우주가 하나가 아니라는 ‘다중우주’ 이론으로 가는 입문이다. 그린은 이 책에서 이렇게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