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면
영사막
은막
영화계
screen
영화
쓰크린
d라이브러리
"
스크린
"(으)로 총 529건 검색되었습니다.
천 년의 기술, 인쇄로 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만들기 쉽기 때문에 인쇄전자에서 잉크로 사용하기도 제격이다. 현재 폴리머는 터치
스크린
이나 평판 모니터, 태양전지 박막 등에 사용하고 있다. 이 폴리머 잉크를 이용해 필름과 같은 유연한 기판에 회로를 인쇄한다면 자유롭게 휘어지는 전자 종이도 만들 수 있다.“결아, 이제 헤어져야 할 시간이 ... ...
탄생! 미래의 문화대사 주니어 앰배서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문화를 배우고 알리고자 하는 의욕에 들떠 있었어요. 그런데 갑자기 불이 꺼지고, 하얀
스크린
에 조명이 들어왔어요.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영국과 이탈리아, 프랑스 문화대사의 축하 메시지가 도착했습니다~!”"어린이 문화대사가 된 친구들 모두 진심으로 축하해요! 더구나 많은 친구들이 ... ...
빨간모자도 깜짝! 똑똑한 모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6호
짜잔! 나는해피엔딩 수사국의 카리스마 넘치는 리더, 빨간모자! 겉보기엔 그저 귀여운 소녀지만 내가 이래 봬도 FBI를 능가하는 유능한 비밀 요원이라구! 후훗!그런데 지금 큰일 났어! 마녀에게 납치당한 헨젤과 그레텔을 구하러 가신 할머니까지 마녀에게 붙잡혀 가셨다지 뭐야? 어째 이런 일이.... ... ...
왕자님의 인어 찾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따라서 물속에 들어가도 통신전파가 닿기만 하면 전화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터치
스크린
을 완전히 자유롭게 사용하기는 어렵다. 대부분의 스마트폰과 태블릿PC는 손끝의 정전기를 이용해 화면을 작동시키는 방식인데, 물속에서는 전자의 이동이 자유로워서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누르듯 손바닥이나 팔뚝을 눌러서 모바일 기기를 작동시키면 된다. 내 몸이 곧 터치
스크린
이 되기 때문이다.미국 카네기멜론대 컴퓨터공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크리스 해리슨은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진과 함께 지난해 3월 ‘스킨풋(skinput)’이라는 새로운 입력장치를 개발했다. 스포츠용 팔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써서, 존을 먼저 선택하면 존에 해당하는 층 번호가 나타나는 식이다.층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과 같은 조작 장치를 설치할 때는 높이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고층 건물에는 엘리베이터 층 버튼을 세로로 너무 길게 만들지 않아야 한다. 엘리베이터에는 성인뿐 아니라 어린이나 장애인도 타기 ... ...
수학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폴클랑 졸리스텐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사티) 무대에서 관객이 주사위를 던지면 무대 뒤에서 컴퓨터로 악보를 만들어 재빨리
스크린
으로 띄워요. 그걸 보고 저희가 연주하죠. 이 방법은 모차르트 시대부터 유행하던 작곡방법이에요.마지막으로 기자는 어린 시절부터 음악을 공부한 폴클랑 졸리스텐 단원들이 학창 시절 수학을 잘했는지 ... ...
통증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만화가 아니라 영화다. 그의 이야기를 눈독들인 곽경택 감독이 애달픈 사랑이야기를
스크린
에 펼쳐냈다. 덕분에 우리는 매주 애타게 기다려야 하는 강풀의 연재물이 아닌 104분짜리 영화 한 편으로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경험한다. 짧지만 강렬했던 영화 속으로 잠시 들어가보자.[동현은 피가 나면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아니라 ‘차세대 극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Calit2에는 사방이 둥근 구 모양의
스크린
으로 둘러싸인 스튜디오가 있다. 이 안에 들어가 특수 3D 안경을 쓰면 완벽한 가상현실 세계가 눈에 보인다. 스튜디오 안에서 자세를 낮추면 주변의 모든 화면이 아래서 올려다보는 각도로 보이고 벽 뒤의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뒤 약물을 처리해 질병에 걸린 세포로 만들어 질병의 메커니즘을 연구하거나 약물을
스크린
하는 용도로 쓸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신분열증 환자의 경우 모든 약을 먹어보지 않아도 섬유아세포에서 질병이 걸린 신경세포로 분화시킨 뒤에 약물을 넣어 가장 약효가 좋고 부작용이 적은 걸 선별할 수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