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라비아사막
사막
arabia
arabian
d라이브러리
"
아라비아
"(으)로 총 222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약개발로 각광받는 세계의 전통약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국교인 불교의 융성에 따라 인도의학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받게 됐다. 아울러 송나라
아라비아
인도 등지로부터 수입된 남방 열대산 생약들로 인해 보다 많은 의약적 지식을 얻게 되었다. 또한 독자적으로 국산생약 즉 향약에 관한 연구도 진행돼 향약방서의 출현까지 보게 되었다.조선시대에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받아 싸운 신무기중의 하나인 비화창(날아가는 불화살이라는 뜻)이다. 두번째는 1250년
아라비아
의 핫산 알라마가 제작한 '연소하며 날아가는 달걀'이며 세번째는 1379년 이탈리아의 '로케타'다.우리나라 최초의 로켓을 만든 사람은 누구일까? 고려말 화통도감을 건의해 18가지 화약무기를 만들었던 ... ...
생약,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입히기도 하지만 당의정을 생략한 생약도 수두룩하다. 당의정 성분은 대개 설탕
아라비아
검 젤라틴 등인데 이들은 물에 녹기 때문에 당의정의 용매 잔류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코팅을 벗기는 것이 원칙생약은 그 메커니즘이 완벽하게 증명되지 않은 약효성분에 주로 의존하는 ... ...
황사현상의 진원지를 가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모래크기까지는 쉽게 진전돼도 이것이 니트로까지는 이르지 못한다. 사하라사막이나
아라비아
사막 주변에 뢰스층이 발달하지 못한 것도 바로 이런 이유때문이다.니토들은 풍속 4~8m/초(시속 14~20km)이상이면 바람에 실려 날아가지만 풍속이 0.5~0.8m/초(시속2,3km 정도) 이하로 매우 잔잔해지면 땅에 ... ...
헤라클레스를 시험한 불사의 괴물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봄철의 특별한 별로 인도에서는 밝은 것, 램프, 진주 등으로 이 별을 불렀다. 또한
아라비아
전설 속에선 맨손의 사람으로 불렸으며, 아크투루스와 함께 하늘을 지탱 하는 기둥으로 여겨져왔다. 여기서 맨손의 사람으로 불렸던 것은 가까운 주위에 밝은 이웃 별이 없음을 나타낸다.스피카는 ... ...
생명연장을 위한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행한 수많은 기적 가운데 한가지로 장기이식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이들은 둘다
아라비아
에서 태어나 시리아에서 의학을 배웠는데 287년 순교할 때까지 수많은 기적적 치료를 행하였다. '검은 다리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일은 그들이 죽은 뒤인 348년에 일어났다고 전해져 온다. 암으로 다리가 온통 ...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이 별을 나일 신전의 숭배 대상 중의 하나인 '신전의 별(Templer Star)'로, 그리고
아라비아
에서는 '하늘의 수호성'으로 부르며 매우 신성시 하였다고 한다.이달의 집중탐구/ 솜브레로 은하(Sombrero Galaxy, M104)처녀자리의 으뜸별 스피카 동쪽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M104로 알려진 특이한 모양의 은하가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통해 보면 그 색깔을 더욱 확실히 알 수 있다. 베텔기우스는 오리온의 어깨를 나타내나
아라비아
말이 유럽으로 건너와 잘못 번역되는 바람에 오리온의 겨드랑이로 알려져 있다. 메소포타미아 시대엔 베텔기우스와 그 이웃한 별들이 왕의 별자리로 알려졌었다. 인도와 페르시아에서는 베텔기우스가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이름은 '뒤따르는 자'를 의미하는
아라비아
말에서 비롯됐는데 이것은 이 별이
아라비아
말에서 비롯됐는데 하늘을 가로질러 히아데스와 플레이아데스성단을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알데바란은 68광년의 거리에 있으며 약간의 변광 현상을 보이지만 대략 0.9등급의 밝기를 가지고 있다.히아데스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남보다 먼저 북쪽하늘에 나와 계속되는 다른 밝은 별들을 바라보고 있는 듯한 모습에서,
아라비아
사람들은 이 별을 '별의 수행자' 또는 '묘성을 끌고 오는 낙타 심부름꾼'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카펠라는 노란색 거성으로 태양보다 60배나 더 밝고 지구에서 42광년 떨어져 있다.카펠라의 바로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