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씨왕조
조선왕조
조선조
한양조
이씨
왕가
d라이브러리
"
왕조
"(으)로 총 188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연구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기억될 일이다.●―서양천문학을 소화해낸 저력도천상열차분야지도는 그후 조선
왕조
천문도의 주류를 이루었다. 천상열차분야지도라는 이름도 동아시아 한문문화권에서 조선에서만 쓰이던 독특한 것이다. 그 뜻은 하늘의 현상을 차례대로 분야에 따라 그린 그림이라고 해석된다.17세기 숙종 때 ... ...
오랜 전쟁에 시달리다 통일된 나라 베트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왕조
구엔
왕조
의 수도였던 곳이다.후에시의 피해는 컸다. 3개 있던 성벽의 안쪽에는
왕조
시대의 건물이 많았다. 그런 유서깊은 건물이 지금은 모두 없어졌다.후에 부근의 아름다운 모래밭도 유명하다. 이 모래밭은 먼바다의 환초가 보호하여 씻겨내려가는 것을 막고있는 것이다. 이곳을 지나 해운관 ... ...
모스크바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가문의 귀족 ‘미하일로마노프’가 황제가 된 뒤 10월 혁명이 일어나기까지 로마노프
왕조
가 러시아를 지배한다.1670년대 초에는 유명한 ‘스텐카 라진’의 난이 일어난다. 농노해방을 부르짖으며 돈 코사크를 이끌고 정부군을 괴롭힌 그는 끝내는 체포되어 붉은 광장에서 처형되었으나 그 이름은 ... ...
헝가리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있다. 이곳의 옛이름은 '아르바 레기아'로 옛 왕국의 중앙에 위치하는 고도였다. 이 때 각
왕조
는 서구에서 건축가와 예술가를 초빙하여 이곳에 성과 사원을 세웠다. 지금은 이 마을이 제조업의 중심지가 되어 옛모습을 찾아볼 수 없지만 박물관에 가보면 이 마을의 옛모습을 알아볼 수 있다.다뉴브강 ... ...
잠수함 만드는데 매혹 조선공학 개척에 평생을 바치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와있다.나는 10여년전부터 선박사(船舶史)와 거북선(亀船) 연구에도 종사하여 현재 '조선
왕조
군선연구'(1976), '거북선의 신화'(1978), '배의 역사'(1980), '韓國船舶史硏究'(1984), '牛岩隨想集-등잔불'(1985), '한국배의 역사'(1989년초 출간 예정으로 조판 중) 등의 저서를 내놓고, 정년퇴임 후인 현재도 ... ...
본격 조사 시작된 마야 그 문명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이고전기의 문화사회에 대해 좀 더살펴보자. 이 무렵 번영했던 많은 도시에는 세습
왕조
가 성립되어 있었다고 생각된다. 각 도시간에는 왕족간의 혈연관계가 맺어져 있는 곳도 있었으며 한편으로는 도시간에 전쟁도 가끔 있었던것 같다.이 시기에 각도시에 세워진 석비에 새겨재있는 것은 주로 ... ...
풍력 발전의 실태 우리나라의 섬지역에 안성마춤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양수기로 활용했던 천진풍차가 있었으며, 기원전 17세기 바빌로니아(함무라비
왕조
)시대에는 관개수로에 응용한 흔적이 있었다. 또 기원전 200년경 페르시아에서는 바람의 힘을 방아(곡식 찧는 기계)의 동력으로 사용하였고, 바이킹의 대명사인 수많은 범선들은 19세기 말까지도 5대양을 횡단하였다. ... ...
정지위성발사에 성공한 중공의 우주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계산에 필요한 상수도 제공하였다. 그 삼통력이후 중국역사를 장식하는 수많은
왕조
의 흥망과 더불어 역법의 개선도 이에 못지 않게 되풀이 되었던 것이다. 고대중국의 관측기기라면 주로 규표(圭表)또는 비(髀)라고 불리우는 것으로서, 수평판에 세워진 수직주(柱)같은 모양을 한것 뿐이었지만 ... ...
이란의 소수 부족들 아마도 최후의 유목민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이란 주민들의 4분의 1은 분명히 말안장위에서 유목생활을 하였다. 그후 「팔레비」
왕조
는 석유산업과 농업을 진흥시키기위해 토지개혁을 하면서 유목민들에게 정착을 강요하였다. 현재의 회교 지도자들의 통치아래서도 그들은 통행권을 쟁취하기 위해 싸우고 있다. 따라서 자유생활을 하고 있는 ... ...
PART3 초신성 폭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전의 일이다. 한편 이 초신성은 케플러에 앞서 한국인이 발견했다는 견해도 있다. '조선
왕조
실록' 및 '천문전고'(天文典故)에는 '모양은 태백성과 같고 빛은 누르고 붉은' 새로운 별이 나타났다가 점차 작아졌다는 기록이 있다는 것이다. 초신성의 발견 연도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을지 모른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