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것도 수학이야? 별난 이름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때로는 기묘하게 이름을 지었다. 가끔은 ‘이런 것도 수학적으로 따져봤다고?’라며 우리가 보기엔 전혀 수학적이지 않은, 수학과 연관 지어 생각하면 별나기만 한 상황을 연구한 것도 있다. ‘별난 수학’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이것도 수학이야? 별난 이름 ... ...
- 문제 풀다 눈 맞아 결혼! 해피엔딩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안에 어떤 두 점을 선택해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 그 직선이 사각형 안에만 존재하면 우리가 아는 사각형 형태가 되는데, 이를 ‘볼록 사각형’이라고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목 사각형’이라고 한다. 클라인이 제기한 문제와 그 해법 1932년 클라인은 적어도 점을 5개 찍어야 볼록 사각형을 ... ...
- [SF 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선을 긋고 누군가를 타자화하고 배척하지요. 하지만 누구에게나 잠재력이 있어요. 우리 모두 누군가의 영혼을 뒤덮는 행위를 하지 않고, 포용하고 이해하고 사랑하며 살아갔으면 좋겠습니다 ... ...
- [과학뉴스] 지하 1.5km 아래에도 다채로운 미생물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보이지만, 모든 동물보다 훨씬 큰 바이오매스를 갖는 생물이 있어요. 바로 미생물입니다. 우리가 잘 모르는 지하 깊은 곳의 미생물 양은 엄청나지요.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막달레나 오스번 교수팀은 광산을 개조해 지하 1.5km 깊이에 건설한 샌포드 지하 연구소(SURF)에 주목했습니다. SURF는 암흑 ... ...
- [가상 인터뷰] 뇌 없는 세균도 경험을 기억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뜻이야. 대장균이 발견될 정도라면 다른 유해한 세균도 많을 가능성이 높거든. 한편, 우리는 가끔씩 떼를 지어서 군집을 만들곤 해.세균이 단체 행동을 한다고?대장균의 단체 행동을 ‘스워밍(swarming)’이라고 한단다. 일부 대장균은 군집을 형성하면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기도 해. 미국 오스틴 ... ...
- [천문학자] 다 같이 돌자, 지구 한 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알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이렇게 에라스토테네스가 계산한 지구의 크기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값과 고작 2%밖에 차이 나지 않을 정도로 정확했어요. 여러분이 지금 비행기를 타고 전 세계를 누빌 수 있는 건 옛날부터 아리스토텔레스나 에라스토테네스 같은 학자들이 지구의 모양과 크기를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슈퍼컴퓨터, 바이오매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지난해 11월 TOP500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프론티어의 코어 수는 약 870만 개입니다. 우리가 보통 집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의 코어 수가 많아야 16개 정도인 것과 비교하면 놀라운 규모지요. 이렇게 엄청난 능력을 가진 슈퍼컴퓨터는 어떤 일을 할까요? 슈퍼컴퓨터는 주로 일기예보나 인공지능 학습, ... ...
- [과학뉴스] 복잡한 로봇 손 ‘한 번에’ 인쇄하는 3D 프린팅 기술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용해 로봇 손 외에도, 심장, 보행로봇 등을 제작할 수 있었다. 카츠슈만 교수는 “우리가 개발한 로봇 손처럼 부드러운 재료로 만든 로봇은 금속으로 만든 상업 로봇에 비해 확실한 이점을 가진다”면서 “(부드러운 재료로 만든 로봇은) 인간과 함께 협업할 때 인간을 상처 입힐 위험이 적고, 쉽게 ... ...
- 당신의 생각보다 더 많은 것을 담고있다 'DNA와 체액'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아주 많은 정보가 담겨 있다. 김종식 연구사는 그중에서 ‘메틸화 패턴’에 집중했다. 우리의 몸을 구성하는 심장, 뇌, 근육 등 조직은 모두 하나의 DNA에서 온 정보를 가지고 만들어진다. 같은 DNA를 보고 다른 형태의 조직을 만들어내는 비법이 바로 DNA 메틸화다. DNA 메틸화는 DNA 속 사이토신 염기에 ... ...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반쪽이 지평선 아래에 가려지기 때문입니다. 지평선 아래에는 나머지 반쪽이 있고, 우리 눈에는 지평선 위의 반쪽만 보이니까요. 사실 브로켄 현상은 일반적인 무지개와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무지개의 경우 빛을 굴절시킬 물방울 외에 무지개가 비쳐 보일 곳이 꼭 필요하지는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