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중"(으)로 총 1,762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알려져 있다. 구아닌 4개로 만들어진 4중나선 구조는 염기 2개로 한 쌍의 염기쌍을 이루는 이중나선 구조에 비해 훨씬 안정적이다. 따라서 4중나선 구조가 많으면 전사 과정에서 DNA를 풀어 mRNA를 합성하는 전사복합체의 작용이 방해를 받아 mRNA가 적게 만들어진다. 그밖에 번역 등 다른 세포 활동에도 ... ...
- [서평]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개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뇌는 이렇게 두 언어를 동시에 구사할 수 있도록 만드는지 알아봤다. 저자의 아들이 그런 이중 언어 사용자였기에 가능한 연구였다. 이 책에는 2018년 12월 저자가 사망할 때까지의 연구 결과물이 집대성돼 있다. 그를 통해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탐구해보자 ... ...
- 꽃가루를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사는 수초들은 주로 물의 흐름에 꽃가루를 맡기기 때문에 ‘수매화’라고 부른단다. 이중 흔히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건 대부분 ‘풍매화’야. 2018년 3월, 산림청은 설명 자료를 통해 “꽃가루 알레르기를 쉽게 일으키는 나무는 참나무, 소나무, 자작나무, 오리나무 등의 순서”라고 말했지. _ ... ...
- [과학동아 X 긱블] 긱블의 네 번째 빅 프로젝트 로켓 발사 탱크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설계 담당 잭키 님은 두 개의 톱니바퀴가 결합된 이중 스프라켓을 사용했습니다. 이 이중 스프라켓의 기어비는 약 14대 1, 즉 회전수를 14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회전수와 토크가 반비례한다고 했으니, 토크가 약 14배 증가한 것입니다. 이전에 알루미늄으로 제작한 카트라이더와 ... ...
- [헷갈린 과학] 산딸기 vs 복분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strawberry)를 비롯해, 블랙베리(blackberry) 등 다양한 종류의 베리류 열매가 많은데, 이중 ‘베리(berry)’는 ‘벌거벗은’이라는 뜻의 ‘bare’에서 유래한 단어다. 일반적인 과일과 다르게 베리류 열매는 껍질에 싸여 있지 않고, 벗겨진 상태로 생기고 자라기 때문이다 ... ...
- ‘꿈틀’ 깔따구 유충 나온 수돗물, 정수 과정에서 대체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7월 9일 인천 서구에서 수돗물 급수 필터에 깔따구 유충이 발견된 것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수돗물 유충 관련 신고가 속출하고 있다. 7월 29일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전국에서 총 2318건이 접수됐고, 이 중 에 유입된 유충 사례는 인천에서만 발견됐으며 총 256건으로 확인됐다. 취수장에서 가정에 오기 ...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길이가 2m에 이른다. DNA는 1953년 영국의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밝힌 것처럼 이중나선 구조를 띠는데, 자세히 보면 아데닌(A), 구아닌(G), 티민(T), 시토신(C) 등 4가지 염기가 쌍을 이뤄 늘어선 형태다. 유전자는 이런 염기쌍들이 여러 개 모여 하나의 유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된 ...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발표했다. doi: 10.1098/rsif.2020.0187연구팀은 테트라고뉼라 속 꿀벌들이 종에 따라 나선형, 이중 나선형, 과녁형 등 다양한 형태로 벌집을 짓는다는 점에 착안해 이 같은 구조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어떤 수학적 알고리즘이 필요한지 계산했다. 연구에 참여한 훌리안 카트라이트 CSIC 연구원은 “모든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때문에 대칭을 수학적으로 연구하는 군론을 통해서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1953년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한 업적으로 유명한 영국의 생물학자 프랜시스 크릭과 미국의 생물학자 제임스 왓슨은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를 싸고 있는 단백질 껍질의 일부 이미지와 바이러스가 가질 수 있는 유전 ... ...
- [기획] 수의 성질이 곧 트릭! 숫자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수는 9보다 크고 999999999보다 작으므로 자릿수를 모두 더한 값은 9와 81 사이에 있어요. 이중 9의 배수는 9, 18, 27, 36, 45, 54, 63, 72, 81이므로 수 1개를 빼고 모든 자릿수를 더한 값에서 가장 가까우면서 그보다 큰 수를 찾으면 원래 수의 모든 자릿수를 더한 값이죠. 따라서 그 값에서 처음 더한 값을 빼면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