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논문탐독] 시간이 흐르지 않아도 늙는다? 이질성 혈액교환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더 구체화될 것입니다. 물론 동물 연구에선 결과를 확대 해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하고,
인간
에게 세놀리틱 약물 등을 적용하려면 그 안전성과 효능을 결정하기 위한 임상시험도 철저히 이뤄져야합니다. 현재 알츠하이머 등 여러 질병의 치료 목적으로 개발된 20여 개 세놀리틱 약물의 임상시험이 ... ...
[러셀탐구생활] 제 9장 어긋난 스승과 제자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그의 저술을 출판할 수 있도록 추천사를 써주고 출판사를 알아봐주었지만,
인간
관계만 놓고 보면 다소 소원한 사이가 되었습니다. 나중에 비트겐슈타인이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교수 자격을 심사받을 때 가 박사 논문으로 제출되었는데, 당시 심사위원이었던 러셀은 마지못해 ... ...
우주에서 친환경 에너지 생산하고 지구에서 쓴다!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해법은 일단 디지털 관련 저장소와 계산 기능을 우주로 들고 가는 것이다. 우주에서는
인간
의 관점에서 거의 무한한 태양광 에너지를 마음껏 쓸 수 있고 디지털 활동에서 나오는 열은 다시 우주로 배출하면 된다. 우주라는 환경은 거대한 에너지원인 태양과 함께 그보다 훨씬 큰 규모의 방열 공간을 ... ...
[포토뉴스] 새쫓는 가시덤불로 둥지 만든 ' 까치의 반항'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많은 나뭇가지로 돔형 지붕을 얹어 다른 새로부터 알을 보호하는 습성이 있다. 그런데
인간
이 만든 인공물의 무게가 모든 생명체의 무게보다 무거워진 지금, 도시 새는 나뭇가지보다 더 구하기 쉬운 버드 스파이크를 이용해 지붕을 얹고 있다. 사람이 버드 스파이크를 이용해 새를 쫓듯, 도시 새도 ... ...
[과학뉴스] 범고래 엄마는 늙어도 아들 사랑꾼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계속 사는지를 설명하기 어려웠다. 실제로 폐경 후에도 자연 수명을 이어가는 포유류는
인간
과 이빨고래 5종 정도에 불과하다. 이전 연구에서는 나이든 어미 범고래가 물고기를 잡아와 가족에게 먹이는 모습이 관찰된 적 있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폐경 후의 어미 범고래가 오랫동안 무리 ... ...
[인포그래픽] 포식자
인간
, 1만 5000여 종 척추동물 집어삼켰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
Outro. 왜 우리는 제임스 웹의 이미지에 감동할까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소중함을 일깨우고 ‘지구의 날’을 제정하는 데 기여했다. ‘창백한 푸른 점’은
인간
과 지구가 우주에서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알려줬다. 어쩌면 제임스 웹도 인류의 생각을 영원히 바꿀 감동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낼지도 모른다. ... ...
[인터뷰] 헤일메리 과학굿즈 작가 “우주와
인간
문명이 만나 우연히 만들어지는 로맨틱한 이야기를 좋아해요”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이런 게 좋아요. 우주와
인간
문명이 우연히 만나서 생기는 로맨틱한 이야기들. 우주에
인간
이 있어야 성립하는 이야기가 너무 좋아요.”“새싹 과학자부터 연륜 있는 과학자들까지 제 컵을 쓰고 있더라고요” 덕후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좋아하는 게 생기면 그걸 들고 동네방네 다니면서 ... ...
[최신 이슈] 해결 못한 후쿠시마 오염수 의문들 AS 해드림!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물질이 붕괴하며 내뿜은 방사선에
인간
의 DNA 염기서열이 파괴되는 현상입니다. 다행히
인간
의 DNA는 스스로 회복 능력이 있어 파괴된 염기서열을 대부분 복구하지만, 간혹 잘못 고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돌연변이 DNA가 탄생하고 이것이 암세포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선량 방사선 ... ...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액체일까, 고체일까?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연구한 공로로 2021년 이그노벨 생물학상을 받았다. 쇠츠 연구팀이 관심을 기울인 분야는
인간
과 고양이가 상호작용할 때 고양이가 내는 소리다. 고양이 집사였던 쇠츠 교수는 2010년부터 키우던 고양이의 울음 소리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곧 다양한 고양이의 울음 소리를 수집하고 분류하는 작업을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