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애물"(으)로 총 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선 없는 세상’ 의 마지막 퍼즐 무선 이어폰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발전할까. 무선 이어폰의 장애물은 머리 무선 이어폰의 안정성은 사람이라는 ‘장애물’을 얼마나 잘 이겨내느냐에 달려 있다. 블루투스 이어폰은 기본적으로 전파를 이용해 음성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하지만 전파는 물을 통과하지 못하고 흡수된다. 송명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
- Part 1. 장애는 연구에 방해가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나를 ‘장애를 극복한 과학자’라고 많이 부르지만, 난 내 몸을 장애물로 생각하지 않았어. 그저 움직이기가 조금 불편했을 뿐, 연구엔 전혀 방해가 되지 않았거든. 제 마음 안에서 저는 자유롭습니다”스티븐 호킹 박사는 1963년 21살이 되던 어느 날, 갑자기 몸이 조금씩 불편해지는 것을 느꼈어요. ... ...
- [Issue] AI는 인간의 ‘후배’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의사를 결정한다. AI 자전거는 핸들을 좌우로 조정하며 스스로 균형을 잡고, 전방에 장애물이 보이면 속도를 줄여 이를 부드럽게 넘어간다. 전방에 보이는 사람의 속도에 맞춰 뒤에서 주행하는 일종의 ‘페이스메이커’ 역할도 가능하다. 칭화대는 링시(Lynxi)라는 스타트업을 설립해 티엔지의 ...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합리적인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그래서 밸런스가 더욱 중요하다. 컨테이너나 건물 등 장애물이 어떻게 놓여 있는지에 따라 한쪽 팀에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그래서 FPS의 맵은 양쪽 팀에 동일한 구조와 배치를 보여주는 ‘대칭형’이다. 김 디자이너는 “FPS는 1인칭 게임이기 때문에 실제 ... ...
- [가상인터뷰] 시조새는 쥐라기 하늘을 날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시조새는 오랫동안 하늘을 나는 데 적응한 현대의 맹금류나 바닷새들처럼은 아니지만, 장애물을 넘거나 천적을 피하기 위해 짧은 거리를 날았을 것”이라며, “날개를 어떻게 썼는지 알기 위해 화석을 더 자세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어. 엄청 멀리까지는 아니지만, 이 정도면 우리가 살던 ... ...
- [과학뉴스] 벽 뚫는 투시력, 노인 케어에 쓰일까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막대 형태로 보여주도록 훈련시켰다. 그 결과 RF-Pose는 무선 신호만으로 사람이 벽이나 장애물 너머에 있을 때에도 자세와 움직임을 정확하게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특정 인물의 신원을 파악해야 하는 수색 작업이나 파킨슨병, 다발성경화증(MS) 등 질병을 모니터링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 ...
- [과학뉴스] 뱀의 비늘을 가진 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할 때 유리하지요. 그렇다면 뱀처럼 움직이는 로봇을 만든다면 어떨까요? 로봇이 여러 장애물을 자유자재로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재난현장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거예요. 뱀이 땅 위를 움직일 때엔 몸에 있는 비늘을 이용해요. 비늘이 바닥과의 마찰력을 늘려서 몸이 옆으로 미끄러지지 ... ...
- 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선반을 나르고 있지만, 서로 충돌하는 일은 없답니다. 키바로봇에 달린 센서가 정면의 장애물이나 다른 로봇을 인식하면 멈춰 서거나 이를 피해가기 때문이지요. 그럼 키바가 물품이 실린 선반을 찾아다 작업자에게 가져다 주는 비결은 뭘까요? 먼저 중앙컴퓨터는 키바에게 어떤 선반을 ... ...
- Part 3. 긴급!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보내지요. 충분히 데이터가 쌓이면 컴퓨터 프로그램은 돌아다닐 수 있는 빈 공간과 장애물이 있는 공간을 구분해 가상의 지도를 만들어 낸답니다. 이 로봇은 지난 2016년 더 넓은 지역의 지도를 만들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 되는 등 계속 연구되고 있어요. 조만간 붕괴 현장에서 바퀴벌레 로봇을 볼 수 ...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갑자기 출몰하는 자전거, 여기에 도로변에 정차한 차량까지 왕복 2차선 도로는 각종 ‘장애물의 향연’이었다. 심현철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한 자율주행자동차 ‘유레카(EUREKAR)-AI(아래 사진)’는 이런 상황이 익숙하다는 듯 여유롭게 캠퍼스를 누볐다. 도로변에 주차된 차를 발견하자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