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Space Math] 지구 밖으로 나간 AI, 우주 정착 앞당긴다!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여러 기업이 인간의 학습 과정에 AI를 도입해 교육 효과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정 사용자의 약한 부분을 AI가 감지해 강화학습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도 가만 보면 학습 주체는 인간이고, AI는 인간의 교육을 위한 보조도구로 쓰인다. 더욱 많은 사람이 우주 탐험과 개척에 나서게 될 가까운 ... ...
- [과학뉴스 ] 다 빈치 미술품의 입체감 달걀 노른자로 만들었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형성돼 물감이 더 단단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노른자를 섞은 유성 물감은 작품의 특정 부분을 두껍게 발라 입체감을 주는 임파스토(impasto) 기법에 적합했던 것이다. 추가로 물감이 마를 때 주름지거나, 습기가 스미는 것을 차단하며, 황변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었다. 또 물감에 더 많은 색소를 ... ...
- [과동키즈] “바로 지금 과학자의 길로 떠나세요”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검증을 위해 다른 실험을 하는 동료의 데이터도 받아 분석했는데 놀랍게도 똑같이 특정 숫자에 수렴했다. 내가 실험한 샘플은 엽채류였지만 감자, 당근 등의 구근식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면 이 결과를 확장할 수 있다. 지상부에서 잎의 성장 수치를 측정하면 땅속 뿌리의 중량까지 예측할 수 있다. ... ...
- [가상 인터뷰] AI로 외계 생명체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크기가 변하는 것도 관찰되지. 연구팀은 8개의 신호가 다른 무질서한 신호와 달리 특정한 패턴을 갖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어. 프랭크 마치스 연구원은 “AI는 외계 지적생명체 탐사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다”고 말했어. ... ...
- [기획] 어린이 VS 어른, 앓는 질병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필요합니다. 암 종류의 차이뿐 아니라 소아청소년은 성인에서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특정 질병이 나타나기도 해요. 예를 들어 미숙아는 태아 시기에만 있는 태아순환구조물을 갖고 태어나 혈액 순환에 어려움을 겪는 질병을 앓기도 합니다. 김찬 전문의는 “배가 아픈 증상이 나타나면 어른은 ... ...
- [러셀 탐구생활] 제5장. 사랑으로 구원 받다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수학자가 칸토어에요. 칸토어의 핵심 아이디어는 ‘집합’이라는 개념이에요. 집합은 특정 대상들로 이뤄진 모임이에요. 단순하죠? 집합론을 이용하면 10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어요. 먼저 ‘두 집합의 크기가 같다’를, ‘두 집합의 원소를 일대일대응할 수 있다’로 정의해요. 그러면 10은 ... ...
- [뉴스&인터뷰] 여자끼리, 남자끼리 생명을 만들 수 있다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찾아내 없애면 동성생식이 가능해질 것으로 봤다. 연구진은 암컷의 각인 유전자를 특정해냈고 동성생식에 성공했다. 구본경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 부단장은 이에 대해 “포유류에서 동성생식이 불가능한 핵심적인 안전장치를 찾아낸 것이고 각인 유전자라는 빗장을 풀기만 하면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호기심에는 나이도, 종도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성인의 얼굴을 더 오래 집중해서 쳐다본다. 기존의 호기심 연구에서는 새 정보를 얻거나 특정 지식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싶을 때 호기심이 나타난다고 봤다. 하지만 이번 연구로 정보나 내용이 아닌, 타인의 행동만으로도 호기심이 발현될 수 있다는 사실이 증명됐다. 사회적 ... ...
-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간・담・췌’ 장기의 상호작용을 보다 '어셈블로이드'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함께 모여 보다 조직화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이때, 세포들이 긴밀한 협력을 통해 특정 기능을 하는 단위를 조직(tissue)이라 부릅니다. 그리고 여러 조직들이 다시 모여 더 복합적인 기능을 하는 단위를 기관(organ・장기)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신경세포 하나하나는 우리 몸에서 전기신호를 ... ...
- [SF소설] 브레인 크런치 : AI 시대에서 인간이 살아남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시술을 설명하기 전에 뇌 가소성을 먼저 알아야 했다. 뇌 가소성이란 쉽게 말해서, 뇌의 특정 부위들은 역할이 선천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변한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시각을 담당하던 뇌 피질에 후각을 연결하면 그 부위가 냄새를 판별하도록 기능이 변하게 된다는 것이 바로 뇌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