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닷가
해변
연안
물가
연해
해변가
연해변
d라이브러리
"
해안
"(으)로 총 1,079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인간에게서 ‘잠수 적응 유전자’를 발견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바자우족 원주민이야. 우리는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남부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의 섬과
해안
에 살고 있어. 바다 위에 세운 집이나 뗏목 위에서 생활 하면서 작살을 이용해 물고기를 사냥하지. 바자우족은 바다에서 1000년이 넘도록 살아왔어. 그래서인지 우리에겐 특별한 잠수 능력이 있지. 별다른 ... ...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단원들이 가장 좋아했던 바다는 기지에서 배로 20분 정도 떨어진 거리에 있는 펜룩 섬
해안
이었다. 수심이 깊어지면서 계속해서 새로운 모양, 새로운 색깔의 산호들이 나타났다.수영을 못한다고 고백했던 김미정 양(한국바이오마이스터고 2학년)조차도 어느새 물개가 돼 수심 깊은 곳의 산호를 ... ...
[Culture] 가을 불청객 은행나무를 위한 변명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조건에 부합하는 가로수가 바로 ‘곰솔’이다. 해송이라고도 불리는 곰솔은 대표적인
해안
가 가로수로 꼽힌다. 잎이 잘 떨어지지 않고 산성도(pH) 6.5~7의 중성 토양에서 가장 잘 자란다. 대부분의 가로수 수종이 산성 조건에서 잘 자라는데 반해 곰솔은 비교적 염분이 있는 환경에서도 잘 버틴다. ... ...
가을에도 즐기는, 서핑은 과학입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말했다.빅웨이브까지는 아니지만 우리나라 연안에도 큰 파도가 종종 밀려온다. 가령 남
해안
지역에 태풍이 접근하면 10m 이상의 큰 파도가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런 파도는 매우 위험해 아무리 숙련된 서퍼라도 서핑은 금물이다. 김 씨는 “아무 때나 할 수 없다는 점이 바로 서핑의 ... ...
[Future] 중국이 짓겠다는 135km 해저터널, 양대 기술 쟁점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정부가 시범 자유무역지대로 선정한 지역이다. 신주시는 대만 수도 타이베이 인근의
해안
도시로 두 지역 모두 무역의 요충지다. 해저터널은 항공이나 선박과 달리 기후에 상관없이 물류를 대량으로 수송할 수 있어 무역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크다. 게다가 해저터널은 전력 및 통신 케이블을 ... ...
[Culture] 커피콩으로 와인 세계 첫 제조, 진짜 오리지널 제주 커피 재배기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남쪽에 있는 산방산 근처 바닷가에서 카페를 열었다. 올레길 10코스 근처인데다 워낙
해안
가 경치가 아름다워서 항상 손님이 많았다. 제주도에 내려오기 전까지는 서울에서 대기업에 다니는 직장인이었다. 바쁘게 살았던 그 시절 카페는 어쩌다가 시간을 때우기 위해 들리는 장소쯤 됐다. 하지만 ... ...
[Issue] 기상이변 일으키는 태평양의 강력한 기후 엔진 ‘천의얼굴’ 엘니뇨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현상을 말한다. 수 세기 동안 페루의 어부들은 몇 년에 한 번씩 따뜻한 해류가 페루 북부
해안
에 몰려오는 현상을 알고 있었다. 이런 현상이 ‘엘니뇨’라는 이름으로 구전되다 1893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됐다. 에너지 평형 맞추는 엘니뇨-남방진동최근 기후과학자들은 ‘엘니뇨-남방진동(ENSO·El ... ...
[Issue] 난민에 관한 과학적 팩트 4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된다.몰디브뿐만이 아니다. 카리브해와 태평양 섬나라들의 경우 인구의 50% 이상이
해안
선으로부터 1.5km 이내에 살고 있어 해수면 상승에 따라 기후 난민이 될 위험이 높다. 기후 난민은 비단 섬나라에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홍수, 폭풍우, 가뭄 등 기후 관련 재해는 지난 20년간 두 배 증가했고, ...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대 세균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갖고 있어 한번 감염되면 치료가 쉽지 않다. 연구팀은 말리부 등 캘리포니아주 남부
해안
지역 세 곳에서 바닷물과 백사장을 채취해 황색포도상구균 검사를 시행했다. 그 결과 모래 시료 중 53%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 됐으며, 2.7%에서는 MRSA가 검출됐다. 굿윈 연구원은 “모래사장 속 MRSA가 ... ...
[식물 속 동물 찾기] 병아리 꽃나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시작했지요. 하지만 병아리꽃나무는 자연에서 쉽게 만나볼 수 없어요. 낮은 산지나
해안
가에 아주 드물게 자라지요. 천연기념물 제371호로 지정된 포항 동해면 발산리가 대표적인 서식지예요. 이곳에는 희귀목인 모감주나무와 병아리꽃나무가 군락을 이루어 살고 있답니다. 자주 볼 수 없다고 너무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