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의"(으)로 총 19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로운 완전수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2년 09호
- 때 시계의 숫자판과 시계바늘의 도는 방향은 그 이전에 사용했던 해시계를 본 따 해의 그림자가 도는 방향으로 정했기 때문이다.(2) ①세 변의 길이를 n-1, n, n+1 이라고 하면 이 삼각형은 다음의 형태가 될 것이다. 삼각형의 사인(sine)공식에 의하면 $\frac{sinθ}{n-1}$=$\frac{sin(2θ)}{n+1}$=$\frac{ ...
- 과학고·과기원 입시총정보과학동아 l1992년 08호
- 수 있지요.모든 문제는 고등학교 교과과정 내에 있는 정리를 사용해 풀어야 합니다. 지난 해의 경우 한 선형대수 문제를 대학에서 배우는 선형대수 정리를 이용해 푼 학생이 있었는데 이 학생은 감점을 받았습니다. 어려운 정리를 증명도 하지 않고 도용해 푼 셈이므로 당연히 감점요인이지요. ... ...
- 멀리있는 실상과학동아 l1992년 05호
- 혹은 멀리 있는지에 관해 천문학자들인 커티스와 할로우 샤플리 사이에 벌어졌던 그 해의 논쟁을 우스꽝스럽다고 여겼을 것이다.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안드로메다가 가깝게 자리잡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1923년 에드윈 허블은 새로 개발된 1백인치형 윌슨산 망원경으로 그 성운을 관찰했다. 그는 ... ...
- 자연의 순리대로 사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 들지 않니?과학동아 l1992년 04호
- 평범한 진리를 발견했다. 누리 양에게멈출 줄 모르는 지구의 운동은 우리를 또 다시 한 해의 시발점으로 옮겨 놓았다. 인문여고 거기서도 문과생인 너희들과 지겹고 골치 아프다는 화학을 공부한 지도 벌써 여러 해를 넘겼구나.누리야!너 기억하겠니? 너희들이 그렇게도 싫다던 화학수업에서 나는 ... ...
- 수학적 발견은 우연인가, 필연인가과학동아 l1992년 03호
- 보듯이 그 크기가 거의 비슷하게 여겨진다. 해와 달의 크기가 같아서인가? 아니다. 해의 지름이 달보다 4백배 크고, 그 거리가 달보다 4백배 멀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음의 수학적 발견이 우연인가, 아닌가를 생각해 보자.① 0.9의 제곱근은 0. 94…로 끝나고, 0.99의 제곱근은 0.99 ...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과학동아 l1991년 11호
- 블랙홀에 대한 것이다. 퀘이사 발견 이후 상대론적 천문학자들은 슈바르츠실트와 커해의 중요한 성질을 증명하는데 10년의 세월을 소모했다.지구의 지평선이 우리 시야의 경계인 것처럼 서로 연락하기 위한 경계인 사건지평선 내에 있는 관측자는 외부에 있는 관측자와 그 방법이 무슨 방법이든간에 ... ...
- 세계 기후모형 다시 제작해야 식물성 플랑크톤이 해수 온도를 높인다과학동아 l1991년 09호
- 해수의 온도를 높이는데 별로 기여하지 못했다. 그러나 식물성 플랑크톤이 아라비아해의 대부분을 뒤덮게 되는 9월에는 사정이 달라졌다. 그들은 막대한 양의 햇빛을 흡수, 전체적으로 7℃정도 총열량을 올려 놓았다."물론 그 말이 실제로 바다의 표면온도를 7℃ 상승시킨다는 얘기는 아니다"라고 ...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과학동아 l1991년 07호
- 정도로 전세계 여러 지역에서 추운 여름이 나타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예로 이 해의 6월 상순에 미국 동부지역은 한파의 내습으로 인해 차가운 폭풍이 몰아닥치고 농지가 얼어붙고 눈이 내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화산폭발 후 1,2년 동안의 기온저하는 이미 1784년 프랭클린(B. Franklin)이 ...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과학동아 l1991년 04호
- M81과 M82다. 이 두 은하는 각각 6.9등급(M81)과 8.4등급(M82)의 광도를 가지고 38′(보름달 혹은 해의 크기가 30′임)떨어져 있다. M81은 작은 타원형의 가스체와 같은 희미한 작은 빛다발이며 M82는 동서로 길게 늘어진 모습이다. M81은 Sb형 나사선은하로 별들이 은하 중심에 밀집돼 달걀모양의 밝은 성운상을 ... ...
- 대입문제, 출제경향과 대책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출제, 수험생들이 감각적으로 어렵게 느꼈을 것이라고 본다. 지금까지의 어느 해의 문제보다도 바람직한 유형이라고 생각되며 상당수의 문제가 참신한 감을 준다. 이 면도 수험생의 입장에서 보면 흔히 대해 보지 않았던 문제유형이기 때문에 어렵게 느낄 수 있다고 판단된다.81년부터 91년까지의 1 ... ...
이전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