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효과적임"(으)로 총 2,0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99.5% 빛을 흡수하는 물고기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7월 16일, 미국 듀크대학교 연구팀은 ‘심해이빨흑고기(Anoplogaster cornuta)’를 비롯한 일부 물고기가 빛을 99.5% 흡수해 매우 검게 보이는 이유를 알아냈어요. 연구팀이 전자현미경으로 심해이빨흑고기의 피부를 관찰한 결과, 피부색을 결정하는 색소 덩어리 ‘멜라노솜’은 길쭉한 모양이었고, 서로 ... ...
- 데이터에 예술을 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데이터가 예술과 만나 작품으로 변신했어. 그동안 예술이라 했을 때 그림이나 조각, 설치 미술만 떠올렸다면, 이제부터는 그 편견과 작별 인사를 해야겠는걸? 데이터가 예술로 변했다?우리는 매일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을 사용하며 데이터를 끊임없이 만들어내요. 이렇게 만들어진 방대한 양의 데 ... ...
- [JOB터뷰] 따뜻한 사회역학자, 김승섭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코로나19 시대, 가난하면 더 아플까? 지난 5월, 마스크를 쓰고 열화상카메라를 지나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건물에 들어섰어요. 사회역학자 김승섭 교수님을 만나기 위해서였죠. 김 교수님은 “딸들도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라며 기자를 반갑게 맞았어요. 인터뷰 내내 어린이들에게 ‘사회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자기 주도적 방학 계획 세우기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겨울 방학을 앞둔 지금, 여러분은 어떤 계획이 있나요? 오늘은 계획을 자기 주도적으로 세우고 실천하는 방법까지 이야기하겠습니다. 만약 이번 방학에 꼭 이루고 싶은 목표가 있다면 여기 소개한대로 해보세요! ※ 편집자 주 수학을 잘하고 싶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학생, 수학 점수 ... ...
- a-school 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여기저기서 인공지능과 코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학교에서도 코딩을 가르치지만 모두 소프트웨어(SW) 개발자가 되는 것도 아닌데 왜 배우는지 모르겠다고요? 이제는 과학 실험도, 예술도 코딩으로 하는 시대거든요! 프로그램 개발자가 아니어도 코딩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요. 복잡한 ... ...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끊이지 않는 환절기 비염, 이유가 뭘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먼저 알레르기성 비염은 코로나19와 증상이 다릅니다. 물처럼 맑은 콧물이 쉴 새 없이 흘러나오고 재채기가 심합니다. 대체로 열이 나지 않고 눈이나 코 주변이 가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코로나19 초기에는 코감기 증상이 나타나는데요. 끈끈한 콧물이 아래로 흐르는 대신 코 뒤로 넘어가는 증 ... ...
- [한페이지 뉴스] 우리 몸의 엔진, 심장의 연료는?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심장은 혈액을 통해 몸 전체에 각종 영양소와 산소를 공급하며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엔진 역할을 한다. 하지만 정작 어떤 물질이 심장의 연료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많지 않았다.졸탄 어러니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페렐만의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최근 심장을 통과하는 혈액의 성 ... ...
- [한페이지 뉴스] ‘빗물이 산을 깎는다’ 숫자로 증명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빗물이 산을 깎는다는 내용은 교과서에도 실려 있을 만큼 널리 받아들여진 정설이다. 그런데 빗물이 지형에 미치는 영향은 지질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했다. 빗물에 의해 암석이 침식돼 산이 낮아진다는 학설이 있는가 하면, 침식된 만큼 다시 지각이 융기한다는 학설도 있다. 이런 학설들 ... ...
- 정답 누설 수학 퀴즈쇼! 만능 수학 문제는?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코로나19로 중요하게 떠오른 사회적 거리두기 문제는 물론 펭귄이 추위를 견디는 가장 효과적인 전략, 먼 거리의 우주 통신을 할 때 생기는 왜곡은 모두 ‘이 수학 문제’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 해결법은 무엇일지, 충분히 생각해본 뒤에 답을 확인하세요! 만능 해결사 ‘채우기 문제’란? ... ...
-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2020년 노벨생리의학상은 간암을 일으키는 C형 간염 바이러스를 발견하고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하기까지 중추적인 역할을 한 의과학자 세 명에게 돌아갔다. 하비 올터(85) 미국 국립보건원(NIH) 부소장은 C형 간염이라는 질병의 존재를 처음 발견한 공로, 마이클 호턴(70) 캐나다 앨버타대 교수는 C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