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뉴스
"
남아
"(으)로 총 2,428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이즈 7번째 완치 사례…치료 성공 핵심요인은 '불분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8
몇 가지 가설을 제시했다. 먼저 환자의 몸 속으로 이식된 기증자의 조혈모세포가
남아
있는 세포를 적으로 인식해 공격하는 과정에서 HIV까지 죽였을 가능성이다. 또 이 환자가 원래 델타-32 돌연변이를 지녔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존에 보유한 돌연변이에 이식된 ... ...
머스크의 '뉴럴링크' 부작용 해결할 생체 전극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실험 결과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손으로 비비고 구기거나 잡아당겨도 패턴이 안정적으로
남아
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패터닝 기술로 만든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생체 전극은 쥐 머리에서 3주 동안 안정적으로 뇌 신호를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쥐 심장 신호를 측정한 실험에서는 한번 사용한 전극을 ... ...
세계 우주 기관장들…"전략 분야 다양해진 우주개발, 국제 협력 중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뒷받침 하는 사례가 많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우주에는 아직 미지의 영역이 많이
남아
있는 만큼 새로운 과학적 주제들에서 (협력의 기회가)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전했다. 아흐메드 벨훌 알 팔라시 아랍에미리트우주청(UAESA) 이사장은 UAE 우주기술 비전에 대해 “전세계 우주 분야의 ... ...
우연히 동결된 5만년전 매머드 피부, 고대DNA 3D구조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생태를 아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염색체 구조가 온전히
남아
있을 수 있었던 것은 냉각과 탈수 상태가 동시에 지속되면서 염색체가 마치 유리와 같은 독특한 상태에 놓이게 됐기 때문이다. 이는 원래 상태보다 손상되기는 쉽지만 훨씬 오래 지속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 ...
"배양육에도 '마이야르'가?"…기능성 배양육 지지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풍미 패턴을 나타냈다. 연구팀은 "세포 배양 기간 동안 풍미 화합물이 손실돼 풍미가
남아
있지 않을 수 있다"며 "배양 기간이 아닌 조리 과정에서 풍미 화합물을 추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배양육의 후각적 특성을 향상하고 소고기 요리의 풍미를 모방하는 방법"이라며 "풍미 화합물은 ... ...
바이러스는 죽어서 면역에 흉터를 남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이끈 신의철 센터장은 “다른 만성 바이러스 감염에서도 유사한 후성유전학적 흔적이
남아
있는지 살펴볼 계획”이라며 “어쩌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이후에 겪는 롱-코비드 역시 조절 T세포에 남은 흔적이 원인일 수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잇따른 화재 유발…폭발 없는 리튬 전지는 언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쓰이는 고분자 소재는 안정성이 높지 않아 고온에서 수축한다"며 "전지 내부에 에너지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분리막이 손상되면 합선돼 스파크가 일어나고 내부에 있던 가연성 기체가 폭발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전기에너지가 많이 필요한 전기자동차 같은 경우 전지의 단위인 셀이 여러 개 모인 ... ...
코로나19 '빠른 증식' 이유 찾았다…약물 재창출 가능성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쥐에게 25mg/kg의 반데타닙을 매일 투여하자 3일 뒤 바이러스 RNA 분석 결과에서 폐 세포에
남아
있는 바이러스 RNA 수준이 약 10분의 1로 감소했다. 또 6일 후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폐 세포의 염증 상태를 관찰한 결과 코로나19에 의한 폐 병변이 현저히 완화된 모습을 보였다. 기존 치료제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
2024.07.03
와 같은 방만한 인력관리를 핑계로 출연연의 민영화를 시도했고 지금까지도 고질병으로
남아
있는 PBS(연구과제중심제도)를 도입했다. 2005년에 불거진 황우석 사태도 과학기술계의 부끄러운 민낯을 고스란히 드러내 보여주었다. 이제 과학기술은 국가의 성장동력이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가장 ... ...
달 뒷면엔 무엇이?...우주자원 개발 경쟁 심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01
중성자 1개로 이뤄진 중수소를 핵융합시키면 동위원소인 헬륨이 생성되며 양자 1개가
남아
에너지로 바뀐다. 헬륨3 1g은 석탄 40t과 비슷한 에너지를 뿜는다. 헬륨3은 양자컴퓨터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으로도 기대된다. 양자컴퓨터 온도를 영하 273.1도로 유지해 큐비트를 안정시키는 냉동기를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