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사물"(으)로 총 1,2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10월 수상자에 안정열‧김용하동아사이언스 l2022.10.10
- 향상하고 유지관리비 절감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 부장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한 각종 서비스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조명 제품개발로 국내는 물론 적극적인 해외 진출을 통해 조명 산업 및 시장 발전에 노력하겠다” 라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왼쪽부터 김영자 ... ...
- 들으면서 과학 접하는 ‘코코지 리틀 과학동아’ 출시동아사이언스 l2022.09.28
- 품는 오디오 콘텐츠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갖고 2020년 11월 설립됐다. 지난 2월 첫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오디오 플레이어 ‘코코지 하우스와 아띠’를 출시하고 ‘코코지와 아띠’를 통해 재미있고 유익한 키즈 오디오 콘텐츠를 다양하게 활용할수 있는 오디오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를 개발, ... ...
- [인터뷰] 알렉사·클로바 초석이 된 음성인식 AI, 비즈니스가 됐다과학동아 l2022.09.17
- 것을 찾아야 했어요.” 실제로 카메라로 텍스트를 인식하면 번역해주는 기술, 얼굴이나 사물을 인식해 식별하는 기술 등이 기술적으로 완성형이 돼 시장에 출시됐다. “저는 내 목소리와 똑같도록 내가 말하지 못하는 외국어 음성을 합성하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 세계적으로 아무도 시도하지 ...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중국 우한대와 공동연구로 파지 오염 해결 방안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2.09.16
-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KAIST 제공 ■KAIST는 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팀이 중국 우한대와 공동연구로 파지 저항성을 갖는 대장균 균주 개발 ... 활용의 청사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IEEE 사물인터넷 저널' 8월 1일자에 발표됐다 ... ...
- 스마트폰으로 전시물 투시한다동아사이언스 l2022.09.13
- 모습. KAIST 제공 KAIST는 이우훈 산업디자인학과 교수와 이기혁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사물 표면에서 내부를 투시하는 증강현실(AR) 장치 원더스코프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원더스코프는 직경 5cm, 높이 4.5cm 크기인 원통 모양의 부품이다. 스마트폰에 장착하고 블루투스로 연결한 다음 앱 ... ...
- 김형준 KIST 소장 "뉴로모픽 반도체 국가전략무기화 기반 마련"동아사이언스 l2022.08.17
- 반도체에 해당한다. 기존 실리콘 기반의 반도체 성능을 넘어서는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자동차, 지능형 로봇 등을 실생활에 구현하기 위한 핵심 부품이다. KIST 차세대반도체연구소 연구팀은 2016년부터 뉴로모픽 반도체 개발에 나섰다. IBM이 2014년 ‘트루노스’, 인텔이 20 ...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사물인터넷 보안 인증 원천기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2.08.10
- KAIST 신소재공학과 연구팀이 마치 사람의 지문처럼 작동하는 새로운 보안·인증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수십억 개의 나노패턴을 이용해 낮은 보안으로도 높은 보안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KAIST 제공 ■ KAIST는 김상욱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매번 다른 모양을 형성하는 분자조립 나노패턴을 이용해 ... ...
- 몸집 확 불린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과학동아 l2022.07.30
- 국가 제1의 산업이다. 반도체는 미래 과학기술과도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등 미래 과학 산업에서 반도체는 핵심 부품이다. 특히 AI 실현을 위한 AI반도체도 주목받고 있다.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각종 소프트웨어 기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글, 애플, ... ...
- 늘리고 구부려도 빛 감지 능력 뛰어난 신축성 소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2.07.08
- 서울대 교수), 손동희 성균관대 교수 연구팀은 7일 인공망막과 카메라 등 등에서 사물을 포착하는데 사용되는 신축성 나노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 인공 망막에 사용되던 전자소자는 형태가 늘리거나 구부리는 등 형태가 바뀌면 빛 감지 능력이 급격히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 ...
- 인간 후각 신경세포 모방한 ‘전자코’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22.07.04
- 구분하는 전자 소믈리에 시스템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뉴로모픽 반도체 모듈은 사물인터넷이나 환경 모니터링, 음식 모니터링, 헬스케어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