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소스"(으)로 총 3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중이온가속기 1000개 장치 하나로 연동하는 기술 국산화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12.13
- 9배가량 확장성이 높다. 고비용의 산업표준 플랫폼 대신 프로그래머블반도체(FPGA)와 오픈소스 운영체제(OS) 기반의 ‘시스템온칩(SoC)’으로 구현돼 단기간에 소프트웨어 개발이 가능하고 저전력으로 높은 성능을 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이날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 ...
- 미래 소재 ‘산화 그래핀’ 대량공정 난제 풀었다동아사이언스 l2018.12.03
- 그런데 물 속 산화 그래핀의 농도가 높아지면, 마치 전분을 너무 많이 푼 탕수육 소스처럼 용액의 끈적함(점도)이 급격히 높아진다는 점이 문제로 꼽혔다. 잘 흐르는 점이 대량생산 공정에 유리한 특성이었는데, 그 장점이 사라지는 것이다. 심율희 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연구원과 김소연 교수, ... ...
- 소니 아이보 울릴 로봇 고양이 한 마리 키워볼까?2018.11.16
- 개발 과정이 담긴 오픈캣 프로젝트는 개발자들의 커뮤니티인 핵스터(Hackster.io)에서 오픈소스로 공개돼 있습니다. 그의 고양이 로봇 만들기는 2016년부터 시작됐습니다. 자신이 기르던 고양이에서 힌트를 얻어 우아한 신체와 민첩한 움직임을 가진 고양이 로봇을 추구했습니다. 처음에는 무척 ... ...
- [과학 게시판]한약자원연구센터 문열어 外동아사이언스 l2018.11.07
- 사용자들을 위한 필독서 ‘OpenFOAM 해킹가이드’를 출간했다고 밝혔다. 오픈폼은 공개 소스로 전환된 지 10년이 넘었다. 두터운 사용자층이 형성돼 있지만, 처음 시작하는 사람을 위한 별도의 가이드나 지침서가 없어 진입장벽이 높았다. 새로 발간한 오픈폼 해킹가이드에는 기본구조부터 코드개발 ... ...
- DGIST학부생, 청소로봇 알고리즘 개발로 ‘해커톤’서 대상동아사이언스 l2018.11.01
- 김태경, 김예승, 송진혁, 신관준 씨 등 4명으로 구성된 ‘디품(D_Poom)’팀이 ‘삼성 오픈 소스 컨퍼런스 2018(SOSCON 2018)’ 대회의 ‘청소로봇 주행 알고리즘 해커톤’에서 대상을 수상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 10월 17일~18일 삼성전자 서울R&D캠퍼스에서 열린 이 대회는 주최 측에서 제공하는 ... ...
- 인터넷 속도 느려도 고화질 영상 끊김없이 본다동아사이언스 l2018.10.30
- 개로 쪼갠 다음 비디오 조각과 함께 보낸다. 영상을 재생할 컴퓨터는 이렇게 보내준 소스를 분석하고, 인터넷 속도가 느려 일부 영상이 유실되거나 늦게 도착해도 고화질 영상을 복원해 재생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최대 속도의 26.9%에 머무는 인터넷 환경에서도 똑같은 체감품질(QoE)의 영상을 볼 ... ...
- 서울대팀, AI 머신러닝 효율 끌어리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2018.10.29
- 이른바 '블랙 박스'가 내부 구조가 보이지 않는 시스템이라면 화이트박스 시스템은 소스코드와 다양한 요소의 비중을 볼 수 있다. 기존 머신러닝 시스템에 추가로 장착해 추론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인공지능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은 과거에도 있었다. 하지만 내부구조 정보를 넘겨받지 않고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추석의 마음 2018.09.23
- 하루에만 4천만 마리의 칠면조가 소비된다고 합니다. 호박파이와 고구마, 크랜베리 소스, 제철 채소 등으로 정찬을 차립니다. 제대로 차리려면 비용도 만만치 않고 노동량이 상당합니다. 하루 종일 요리에 매달려야 하죠. 그렇게 돈과 시간, 노력을 기울여서, 도무지 한번에 다 먹을 수 없을 정도로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전자두뇌가 기계 몸을 입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09.14
- 쿠사나기 소령은 매우 상쾌한 표정으로 거리로 나선다. 쿠사나기 소령이 컴퓨터 소스코드로 만들어진 인공적인 자아와 합쳐지면서 두 개의 자아를 지닌 존재로 바뀌어 버린 직후의 모습이다. 이 작품은 인간과 기계를 구분 짓는 기준은 무엇인지 심도깊게 질문해 많은 화제를 낳았다. ... ...
- 美 실리콘밸리 진출하는 학부 졸업생 김태훈 씨동아사이언스 l2018.08.28
- 자신이 개발한 오픈소스 코드를 공개하면서부터다. 20여 차례에 걸쳐 공개된 이 오픈소스 코드를 통해 ‘카르페디엠(carpedm)20’이라는 아이디는 세계 AI 연구자들 사이에서 유명세를 탔다. 덕분에 2015년 졸업 당시 김 씨는 구글 브레인 프로젝트를 이끄는 제프 딘, 오픈AI의 창립멤버 중 한 명인 존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