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까락
손꾸락
둘째손가락
둘째
수지
뉴스
"
손가락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손상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참고로 2010년 데니소바인 게놈 데이터는 콩알만 한
손가락
뼈에서 추출한 DNA에서 얻은 것이다. 고인류학은 고게놈학 이전과 이후로 나뉠 정도로 게놈 정보는 고인류학을 혁신시켰다. 그리고 요즘은 화석의 실체를 밝힐 때 형태의 차이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에 대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피부에 흉터 남기지 않고 나을 수 있을까
2021.06.22
건 왼쪽이다. 그래서 왼손 엄지
손가락
을 보니 놀랍게도 역시 다친 흔적이 없다. 두 엄지
손가락
을 나란히 두고 자세히 살펴봤지만 둘 다 피부가 매끈하다. 한 달 전 다쳤다는 게 거짓말 같다. 피부에 상처가 날 때 표피까지만 다치면 깨끗이 낫고 진피가 손상돼야 흉터가 남는다는 말은 들었지만 이 ... ...
[잠깐과학]첫 번째 바코드 찍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6.19
1949년 1월우드랜드는 슈퍼마켓 손님들이 물건을 빨리 사서 나가는 방법을 찾다가
손가락
으로 해변의 모래를 긁다가 바코드의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모래에 남은 길쭉한 선처럼 여러 개의 막대에 상품 정보를 담자는 생각이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이렇게 개발된 바코드는 1952년에 ... ...
'벌새보다 작은 공룡' 호박 속 실제 주인공 도마뱀 확실해져
연합뉴스
l
2021.06.15
주인이 도마뱀이라는 점이 더 잘 보존된 다른 종(種)을 통해서 다시 확인됐다.
손가락
끝마디 크기의 호박에서 발견된 이 두개골은 지난해 3월 '눈과 이빨, 새'를 뜻하는 라틴어인 '오쿨루덴타비스 카운그라이'(Oculudentavis khaungraae)라는 학명을 붙여 현존하는 가장 작은 새인 벌새에도 못 미치는 ... ...
뛰는 것 빼곤 다 된다…국내 첫 무릎형 로봇 의족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15
모터가 많이 달리고 무거워진다”며 “모터를 하나만 쓰는 대신 와이어를 이용해
손가락
마디의 굴곡을 자유롭게 움직이는 구조로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로봇 의수를 차고 팔뚝에 근전도 센서를 붙이면 근전도 센서가 근육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읽어 로봇 의수에 전달한다. 김 선임연구원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누군가 내 분노의 버튼을 누른다면
2021.06.12
많은 갱단들이 명예규율를 가지고 있어서 밖에서 보면 아무 것도 아닌 규칙 위반으로
손가락
을 자르는 등의 일이 발생한다. 자신과 가족의 명예를 지키는 것을 중시하는 정도가 클수록 명예를 실추시킨 사람에 대해 친한사이라도 주먹부터 휘두르곤 한다. 역사적으로 결투를 신청해서 둘 중 한 명은 ... ...
약물 전달한 뒤 사르르 녹는 얼음 미세침
과학동아
l
2021.06.03
수크로스를 결합한 동결보호제를 첨가했다. 얼린 미세침을 꺼내 상온(24℃)에서
손가락
끝에 놓자 60초 안에 뾰족한 끝 부분이 녹았다. 연구팀은 성능 시험을 위해 골수에서 추출한 면역세포인 수지상세포로 만든 흑색종 예방 백신을 미세침으로 만들어 쥐에게 접종했다. 그 뒤 쥐에게 흑색종 종양을 ... ...
무엇이든 잡는 로봇손, 비밀은 손바닥
과학동아
l
2021.06.02
로봇손은 물건 모두를 손쉽고 안정적으로 잡았을 뿐만 아니라, 형태와 물성에 따라 집게
손가락
만을 이용하거나 손바닥을 지지대로 활용하는 등 다양한 동작을 구현했다. 버셔 연구원은 “최적의 디자인을 통해 기존의 로봇손이 해내지 못했던 동작을 가능케 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 ...
자율주행차의 눈 '라이다' 나노광학 기술로
손가락
만하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0
개발하기 위해 여러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 연구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손가락
한 마디 정도 크기를 갖는 초고속·초정밀 라이다 장치를 값싸게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가려움 강도 측정하는 휴대용 센서 개발
연합뉴스
l
2021.05.03
휴대용 센서를 개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1일 보도했다. 이 센서는
손가락
, 팔목, 팔꿈치 등을 사용하는 모든 형태의 긁는 동작을 포착할 수 있다. 그러나 기계학습 알고리즘(machine learning algorithms)을 통해 손으로 긁는 동작만을 잡아낸다. 손을 흔드는 제스처 같은 유사 동작에는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