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방
자유
뉴스
"
자유자재
"(으)로 총 36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등과학원·카오스재단 ‘2018 노벨상 해설 강연’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기술을, 스미스 교수와 윈터 교수는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해 원하는 항체나 펩타이드를
자유자재
로 생산할 수 있는 ‘파지 전시’ 기술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아널드 교수는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5번째 여성으로 이름을 올렸다. ... ...
[2018 국감] 내년엔 반복되지 말아야할 과기분야 10대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8.11.0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지난달 10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 현장. - 연합뉴스 올해 과학기술 분야 국정감사에서는 '연구세습’과 국가연구개발사업비로 부실 학회에 참석하는 ‘가짜학회’, 라돈침대로 불거진 ‘생활방사선’, 월급 상납과 일자리 ... ...
치료용 유전물질 세포에서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1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이용하면 생체 내에서 RNA나 단백질 등을
자유자재
로 생산할 수 있게 돼 다양한 난치병 치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 교수는 “나노반응체 속의 유전물질 종류를 바꾸면 다양한 RNA를 생체 내에서 생산하게 된다”며 “바이오․의학 ... ...
전자회로 패턴 자유롭게 그리는 신개념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29
스템프 전체를 바꿔야한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진은 기존 공정의 단점을 극복해
자유자재
로 회로패턴을 즉시 그려 찍어내는 방법을 찾았다. 수십 메가파스칼(MPa)의 압력을 이용해 핫엠보싱 공정에서 사용하는 폴리머 필름에 단번에 회로를 그리는 전자기 구동기를 만든 다음, 정밀 위치제어 ... ...
빛으로 양자상태
자유자재
로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이를 바탕으로 양자 고리에 쬐는 빛의 세기를 조절하면, 정해진 양자의 진동주기를
자유자재
로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 예측과 실험 검증을 통해 이번에 새롭게 밝혀냈다. 김 교수는 “아하로노프-봄 진동 주기는 링 구조의 반경에 의해 이미 결정되는 값이라 제어가 쉽지 ... ...
비틀어도 잘 작동하는 웨어러블 기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과 함께 박막의 다양한 전기적·기계적 특성과 형태를
자유자재
로 조절할 수 있는 신축성 전자소자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최근 인체에 부착해 사용할 수 있는 신축성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각광을 받고 있지만, 기존 반도체 소자의 경우 ... ...
“뒤뚱뒤뚱 펭귄? 물속선 200m까지 나는 새”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펭귄을 물속을 나는 새로 표현한 이유도 그렇다. 그는 “마치 하늘을 날듯이 물 속을
자유자재
로 헤엄치는 새인데 잘 알려져 있지 않다”며 “몸길이 70cm에 불과한 젠투펭귄은 200m 깊이까지 잠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뒤뚱뒤뚱’이라는 부사로 묘사되던 육지에서의 둔한 모습은 펭귄의 진짜 ... ...
“이젠 시장이다”…초보기업 딱지 떼는 스타트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1
전도성 액체금속을 기반으로 개발한 소프트 센서를 활용하면 열 손가락을 실제처럼
자유자재
로 움직일 수 있어 진정한 가상현실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20일 서울 강남구 팁스타운. 배준범 필더세임 대표(울산과학기술원 기계항공 및 원자력공학부 특훈교수)는 전문 투자자들과 공학계 석학들 ... ...
초고해상도 OLED 제작기술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8.09.06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ETRI 연구진은 렌즈 크기를 수십 나노미터부터 수백 나노미터까지
자유자재
로 조절해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OLED 픽셀보다 훨씬 작은 크기로 유기 나노 렌즈 제조가 가능하다. 이 기술을 통해 현재보다 훨씬 저전력, 고명암비, 초고화질 OLED 디스플레이를 상용화 할 수 ... ...
전기 없이 어디서든 열 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4
하지 않을 경우 온도가 섭씨 50도까지 올라갔다. 이번에 개발한 소재는 색깔을
자유자재
로 바꿀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태양광패널, 건축물의 내열 설계 등에 필요한 대면적 냉각장치는 과거에도 있었지만 모두 반짝이는 은색이나 흰색으로만 만들어야 했다. GIST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소재는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