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뉴스
"
천문박사
"(으)로 총 479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2월에 태어난 수학자들
2021.02.27
지동설 창시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오 갈릴레이' “그래도 지구는 돈다.” 2월에 태어난 수학자 중 가장 유명한 두 사람을 고르자면 지동설의 창시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아닐까 싶습니다. 우주는 지구를 중심으로 돈다는 천동설 대신 태양을 ... ...
[과학게시판]과천과학관 전파망원경 프로그램 운영 개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26
국립과천과학관이 3월 1일부터 2달 동안 ‘전파로 보는 태양’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국립과천과학관이 오는 3월 1일부터 2달 동안 ‘전파로 보는 태양’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한다. 국립과천과학관이 보유한 직경 7.2m 크기의 전파망원경은 국내 과학관 중 가장 큰 ... ...
[프리미엄 리포트]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
과학동아
l
2021.02.2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좋은 연구자가 되려면 연구자의 기본 소통 수단인 논문을 잘 써야 한다. 잘 쓴 논문은 다른 연구결과를 정확히 인용하고 데이터를 임의로 가공하지 않는 등 연구윤리를 준수해야 한다. 최근 일부 연예인이 학위 논문 표절 시비에 휘말린 것도 기본적인 연구윤리를 지키지 않았 ... ...
호킹 박사 내기에서 지게 만든 블랙홀, 더 무겁고 더 멀리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백조자리 X-1 블랙홀의 상상도다. X-1은 태양과 수성 간 거리의 절반 정도로 가까운 짝별인 청색 초거성에서 나오는 물질을 흡수하며 X선을 방출한다. 국제전파천문연구센터 제공 백조자리 X-1 블랙홀은 인류가 처음 발견한 블랙홀이다. 1964년 강한 X선을 뿜는 천체가 백조자리에서 확인된 이후 블랙홀 ... ...
지구에서 가까운 ‘트라피스트-1’ 지구형 행성 7개 “밀도 놀랍도록 비슷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지구에서 약 40광년 떨어진 ‘트라피스트-1’ 주위를 도는 지구형 행성 7개의 밀도가 거의 같다는 사실이 처음 확인됐다. NASA/JPL 제공 지구에서 약 40광년 떨어진 왜성인 ‘트라피스트-1’ 주위를 도는 지구형 행성 7개를 분석한 결과 이들의 밀도가 놀랍도록 비슷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구에 ... ...
지구, 생명체 원소 질소 "처음부터 상당부분 갖고 출발"
연합뉴스
l
2021.01.22
철질운석 동위원소 분석 결과 태양계 외곽서 전부 전달받은 것은 아냐 [NASA/JPL-Caltech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질소(N)는 산소와 수소, 탄소 등과 마찬가지로 지구에 생명체 존재가 가능하게 한 휘발성 원소다. 생명체 형성에 필수적인 이런 휘발성 원소는 원래 지구에 없었으나 목성 궤도 밖 ... ...
태양 표면보다 뜨거운 코로나 온도는 100만도...천문연·NASA, 세계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1.18
2019년 9월 18일 과학용 풍선기구에 실려 성층권에서 관측 중인 코로나그래프. 천문연 제공. 태양 대기의 가장 바깥 영역인 코로나는 밝기는 어두운 반면 온도는 표면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로나는 태양풍으로 불리는 플라스마를 빠른 속도로 태양계 전체에 방출해 지구에도 영향을 준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사이언스 제공. 지난해 8월 10일 이른 아침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 박사후연구원인 스라바니 바디는 새벽 2시 NGC 7469라는 은하를 관측하기 위해 305m 구경의 전파 망원경 관측에 집중했다. 이 은하의 중심에는 2개의 초거대 블랙홀이 존재했다. 바디 박사는 2개의 블랙홀이 주변에 가스 ... ...
별 만드는 가스 잃으며 '죽음' 향하는 90억광년 밖 은하 관측
연합뉴스
l
2021.01.12
은하간 합병 가스방출 촉발…수천만년 내 별 생성 연료 고갈 [ESO/M. Kornmesser 제공] 은하는 별을 만들지 못하면 죽기 시작한다. 이런 과정이 어떻게 시작되는지 불분명했는데, 지구에서 약 90억 광년 떨어진 초기 우주에서 별을 생성하는 연료인 차가운 가스를 급격히 잃으며 '죽음'으로 향하는 은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지난해 12월 1일, 57년간 천문학자들의 눈이 돼 주었던 아레시보천문대가 부서졌다. 그보다 앞선 1월엔 16년간 활동해온 스피처우주망원경과의 신호가 끊겼다. 이들은 각기 활동한 영역과 기간은 다르지만 일생을 우주만 바라보다 잠들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RIP(Rest in Peace)’보단 ‘RIS(Rest in Space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