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리
예측
추정
추측
추단
결론
유추
뉴스
"
추론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연, 정자의 수정 능력을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밝혀졌다. 연구팀은 아연이 정자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과정에서 핵심 조절 인자라고
추론
했다. 1752개 단백질 중 102개는 정자가 수정 능력을 갖출 때 다량 생성되는 단백질이었다. 연구팀의 분석결과 아연은 정자가 수정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했다. 이 정자는 난자를 만나도 수정되지 ... ...
초등학교 교실과 집안 공부방에 AR 지구본이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8
학생들이 과학 수업을 듣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사용자 손동작도 심층학습
추론
기법을 활용해 빠르고 정밀하게 인식한다. 접속자 수가 늘어나면 데이터 처리량이 증가하고 동작 인식시간이 길어지는 데 반해 손동작에서 손 영역을 빠르게 검출하는 기술을 이용해 연산 속도를 0.1초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노벨상의 권위, 과학의 일탈
2022.06.02
'비타민C 부족혈증'이라는 또 다른 유전병을 가정하는 것은 전혀 비과학적인
추론
이 아니었다. 인류는 분명 진화의 어떤 단계에서 다른 종은 모두 스스로 생산할 수 있는 비타민C 합성 능력을 잃어버렸고, 이를 교정하면 인체 내에서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분자들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좋은 건강을 ... ...
한국과 미국서 따로 자란 일란성 쌍둥이, 가치관도 지능도 차이 벌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20
분석이 이뤄진 것은 처음이다. 허 교수는 “한국인은 서양인보다 지각 속도나
추론
점수가 높고 집단주의적 성향도 강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쌍둥이에게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며 “하지만 두 사람의 가족 환경도 있고 B씨가 뇌진탕을 세 차례 겪은 전력이 있어 환경의 영향으로만 특정하기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두 번이나 노벨상을 받은 과학영웅의 몰락
2022.05.19
제공 과학자는 결코 완벽할 수 없다 조 교수에 따르면 폴링은 자신의 과학적
추론
법을 '추계적인 방법이라고 불렀다. 폴링은 ‘교육받은 추측’ 혹은 ‘훈련된 추측’과 ‘직관’을 매우 중시했다는 것이다. 조 교수는 또 이렇게 적고 있다. “그(폴링)에게 새로운 연구결과를 가져오는 ... ...
동맥경화 악화하는 뇌-동맥 신호 체계 발견
연합뉴스
l
2022.05.03
삼아 멀리 떨어진 표적에 도달한다. 말초신경계가 병든 혈관과 직접 상호작용할 거라는
추론
이 가능했다. [미국 스크립스 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LMU 연구팀은 동맥경화가 단순히 죽상경화반의 문제가 아니라 전체 동맥의 만성 염증 질환이라는 걸 알아냈다. 지금까지 알던 것과 달리 ... ...
알프스산맥 2천800m 고지대서 발굴된 20m 거대 어룡 화석
연합뉴스
l
2022.04.28
이빨만 놓고볼 때 역대 가장 큰 것으로 제시했지만, 연구팀은 "이빨의 지름이 몸길이를
추론
하는 직접적인 단서가 될 수는 없다"면서 이빨 화석의 주인이 몸길이마저 역대 가장 큰 어룡이라고 단정하는 데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빨 없이 작은 생물을 여과섭식 하는 흰수염고래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P값에 반기를 든 초파리 행동유전학자
2022.03.10
때, 효과크기는 5kg”이 되는 식이다. 이에 반해 P값은 두 변수 사이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추론
통계학의 기법인 셈이다. 신뢰구간은 이미 여러 대선후보 지지율 통계조사결과 발표 등을 통해 우리에게 익숙한 개념으로 '모집단 모수 값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갑의 범위'를 의미한다. 쉽게 말해 ... ...
인간 감각기관 정보처리 방식 흉내낸 소자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6
신경세포다. 방대한 양의 외부 자극에서 빠르게 패턴을 찾아내 뇌가 인지나 학습,
추론
등 복잡한 작업을 적은 에너지로도 처리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연구팀은 뉴런의 이런 기능을 모사한 소자를 개발했다. 외부 자극을 전압으로 변환해 특정 세기가 넘어설 때 신호를 발생시키는 소자다. 이 소자는 ... ...
10만년전 조상부터 현생 인류까지 잇는 역대 최대 규모의 '인류 족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8
유사한 변이를 보이는 유전체를 연결짓는 알고리즘이다.가계도 상 비어 있는 연결고리는
추론
을 통해 잇고 데이터에 입력된 위치정보를 활용해 조상들이 언제 어디서 살았는지 추정할 수 있다. 연구팀은 전 세계 인간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8곳에 축적된 데이터와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