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olorado
colorado
콜로라도주
뉴스
"
콜로라도
"(으)로 총 305건 검색되었습니다.
최기영 후보자 오늘 인사청문회…재산·부실학회·정책 역량 검증대 올라
동아사이언스
l
2019.09.02
취재 결과 문제가 됐던 학술단체인 국제학술연구산업협회(IARIA)가 제프리 비올 미국
콜로라도
대 사서가 만든 부실학회 목록인 ‘비올 리스트’에는 올라 있지만 일반 학회 특성 및 동료 검증 절차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여 인사 청문회 검증 양상이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재산과 부실학회 ... ...
美NASA 총책임자 "명왕성은 여전히 행성" 주장
연합뉴스
l
2019.08.30
입에서 나왔다. 28일(현지시간) CNN방송에 따르면 짐 브라이든스틴 나사 국장은 최근
콜로라도
의 한 대학에서 열린 로봇 관련 행사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내 생각에는 명왕성은 행성"이라며 "지금까지 명왕성은 행성이라고 배워왔고 이 생각을 계속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사에 ... ...
고생물학자들 "세계 최대 진주 공룡 발자국 화석지 현지 보존해야" 성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지지하는 편지를 보내왔다”고 밝혔다. 한국 백악기 화석 전문가인 마틴 로클리 미국
콜로라도
대 박물관장(지질학과 교수)는 7월 전공자 모임에 편지를 보내 “수많은 세계적 고생물학자들이 연구를 위해 다녀가 저서에 소개하고 논문으로 기고한 우수한 공룡발자국 산지”라며 “넓은 지역에 ... ...
최기영 장관 후보자도 피하지 못한 부실학회 논란…모르쇠式 연구재단 가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문제는 IARIA가 부실 추정 학회 명단에 이름이 올라있다는 점이다. 제프리 비올 미국
콜로라도
대 사서가 만든 대표적인 부실학회 목록인 ‘비올 리스트’는 IARIA를 부실학회로 분류하고 있다. 부실 추정 학회의 공통적인 특성 중 하나는 무단으로 권위 있는 연구자의 이름이나 논문을 가져와 ... ...
태양계 밖 '뜨거운 목성' 자기장 목성보다 훨씬 강해
연합뉴스
l
2019.07.23
목성보다 훨씬 강한 자기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에 따르면
콜로라도
대학의 윌슨 컬리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태양계 밖 별 관측 결과를 토대로 처음으로 뜨거운 목성의 자기장의 크기를 계산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과학 저널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 최신호에 ... ...
빛·물질 상호작용 제어 성공…신개념 디스플레이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7.14
국소화된 빛을 말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박경덕 자연과학부 교수가 미국
콜로라도
대와 메릴랜드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빛과 물질 사이 상호작용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며 관찰하는 신개념 나노현미경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반도체 내에서 만들어지는 준입자인 ‘엑시톤(exiton ... ...
[표지로 읽는 과학] 위상이 뒤틀리는 '회오리 빛'
동아사이언스
l
2019.06.30
스페인 살라망카대 응용물리학과 교수와 로라 리고 박사과정연구원, 케빈 도니 미국
콜로라도
대 물리학과 박사후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빛의 궤도각운동량을 펨토초(1000조 분의 1초) 수준의 미세한 시간차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사이언스 2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특수 제작한 ... ...
친환경 ‘생분해성’ 용기의 역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3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린다 리 미국 퍼듀대 농업경제학과 교수와 최윤정 미국
콜로라도
광산대 토목환경공학과 연구원 팀은 생분해성 용기가 과불화화합물을 방출해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환경 과학과 기술 레터스’ 29일자에 발표했다. 생분해성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과속을 하는 이유
2019.05.05
질주극을 벌입니다. 과태료는 물론이고, 자칫하면 많은 사람이 위험해집니다.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 심리학과 제리 디펜바커 교수는 분노와 사고의 관련성을 연구했습니다. 그런데 사고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숙련되지 않은 운전 실력이 아니었습니다. 바로 분노였습니다. 앞 차에 너무 ... ...
나라마다 흔한 식품 알레르기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문제가 된 땅콩 알레르기만 해도 미국이 한국보다 6배쯤 흔하다. 지난해 7월 미국
콜로라도
대와 싱가포르 아동의학연구소 공동연구팀이 ’한국천식알레르기학회지‘에 낸 연구결과에 따르면 땅콩 알레르기 환자 비율은 아시아인(3.8%)보다 미국인(2.1%) 코카서스인(5.5%)에게 훨씬 흔하다. 한국인은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