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념
체념
자포자기
기권
추방
공공연히 버리기
절망
뉴스
"
포기
"(으)로 총 1,180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회복됐지만...미래 글로벌 감염병 대응계획, 힘 잃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6.04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이 명확하지 않다”며 “심지어 백신에 대한 지적 재산권
포기
관련 문구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선택사항도 포함돼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리 연구원은 “치료제 개발에 막대한 자원과 시간을 투입하는 제약사들이 이번에 공개된 초안작성 과정에 로비를 ... ...
[주말N수학] 빌 게이츠도 주목...남아공서 에이즈와 맞선 생물통계학자
수학동아
l
2023.05.13
그릇을 씻었죠. 게다가 학교가 집에서 10km나 떨어져 있어 여자들은 공부를 쉽게
포기
했어요.” 그때 빈곤에서 벗어나려면 여자들도 계속 학교에 나가야 한다고 가족을 설득한 사람이 페트로 삼촌이었다. 제빵사였던 삼촌은 매일 아침 7시면 영어로 진행되는 뉴스 방송을 틀어 조카들에게 국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근거 없는 '괴담'
2023.05.09
몹시 부끄러운 ‘사대주의적 관행’일 수밖에 없다. 일본 정부가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포기
하고 ‘장기 저장 해법’을 고민해야 한다는 환경단체들의 주장도 억지다. 흙이나 돌과 같은 고체 상태의 폐기물이라면 장기 저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액체 상태의 오염수를 장기간 안전하게 저장하는 일은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20) 우주발사체 개발 역사 모두 카메라에...매년 5만km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05
영상 103건 중 50건 제작에 참여했다. 김 씨는 “출장이 잦은 것에 대해 집에서는 거의
포기
다”며 “항우연 홍보실 영상 담당 직원을 가족보다 더 자주 본다”며 너털 웃음을 보였다. 그는 “그러나 대한민국의 처음을 영상으로 기록하는데 자부심을 느낀다”고 강조했다. 그가 찍은 모든 영상은 ... ...
신소재 '중고 신인' 강유전체...신경모방 컴퓨팅 미래 밝힌다
과학동아
l
2023.04.29
큰 혁신은 항상 신소재의 개발에서 시작됐고, 신소재의 개발은 당장은 불가능해보여도
포기
하지 않았던 연구자들의 노력과 정부 및 산학연의 협력이 더해져서 가능했습니다. 강유전체 기반 메모리도 아직은 상용화할 수 있는 부분이 매우 제한적이지만, 현재 그리고 이 글을 읽고 있을 미래의 ... ...
화성처럼 꾸민 곳에서 1년간 거주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사람을 보내기 전에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참가자들은 원할 경우 실험을
포기
할 수 있으며 NASA는 만일을 대비해 두 명의 대체 인원도 선정해 뒀다고 밝혔다. ... ...
[씨즈더퓨처] NASA 신상 우주복 '어깨핏'에 숨은 비밀
2023.04.02
개발 비용은 만만치 않다. 당초 NASA는 우주복을 자체 개발하려 했지만, 재정 등의 이유로
포기
했다. 이에 2022년 미국 민간우주기업 액시엄스페이스와 콜린스 에어로스페이스에게 차세대 우주복 개발을 의뢰하면서 총 35억 달러(약 4조 3459억원)를 지급하기로 약속했다. 그리고 이번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락가락' 기름값...정부가 걷는 유류세 개편해야
2023.03.21
지난 10여 년 동안 상황이 달라진 것도 아니다. 특히 휘발유·경유의 공장도 가격이 절대
포기
할 수 없는 영업비밀이라는 정유사의 입장은 절대 변할 수 없는 것이다. 사실 동네 구멍가게에도 원가 공개를 강요하지 않는다. 더욱이 석유사업법 제38조에 따라 반드시 지켜줘야 하는 정유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눌러 물을 마신다. 그런데 빨간빛으로 심박수가 높아진 생쥐는 레버 앞에서 망설이다
포기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역시 불안이 크다는 증거다. 최근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진들은 빛으로 통로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는 광유전자 기법을 써서 심박수 증가가 불안감을 높인다는 가설을 입증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엉터리 정보 경계해야
2023.03.07
사람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런 궤변을 믿는다면 벼락이 무서워 바깥 출입을
포기
해야만 한다. 마른 하늘에서도 날벼락이 치는 법이다. 차도를 멀쩡하게 주행하는 자동차에도 겁을 내야 한다. 오염수를 100배로 희석하는 것이 공학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주장도 어처구니없다. 참고로 132만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