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진
photo
픽쳐
포토그래피
포토그라피
형상
영상
뉴스
"
포토
"(으)로 총 243건 검색되었습니다.
구글, 애플 ‘시리’에 맞설 인공지능 비서 ‘구글 어시스턴트’ 발표
2016.05.19
e메일에 간단한 답을 만들어주는 ‘인박스(Inbox)’에서 보던 것이지요. 여기에 구글
포토
에서 보여주었던 ‘컴퓨터 비전’도 붙였습니다. 상대방이 강아지 사진을 보내면 이미지를 읽어서 ‘강아지 예쁘다’ 같은 답을 제안해주는 것이지요. 문장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봇(bot)도 붙습니다. ... ...
텅빈 공간에서 발견한 은하 만물상
2016.05.12
나선형이나 타원형을 하고 있다.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이충환 기자의 ‘코스모스
포토
에세이’를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우주 속 별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4인치 아이폰이 돌아왔다 ‘아이폰SE’ 리뷰
2016.05.11
화소 카메라, 애플페이, 라이브
포토
등 기능적인 차이는 없다. 4k 동영상을 찍고, 라이브
포토
를 담는 카메라 모듈과 소프트웨어 처리까지 같다. 아이폰6S가 아이폰5S의 옷을 입었다고 보면 될 것 같다. 그렇다고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니다. 아이폰5S의 부품을 그대로 쓴 부분들이 꽤 있다. 대표적인 것이 ... ...
우리은하의 비밀 간직한 막대나선은하
2016.05.05
막대나선은하이기 때문이다.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이충환 기자의 ‘코스모스
포토
에세이’를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우주 속 별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별의 속살 vs 별의 시체
2016.04.28
없는 멋진 가을을 기대해보자.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이충환 기자의 ‘코스모스
포토
에세이’를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우주 속 별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
포토
무비] 체르노빌 원전 사고, 모든 것이 멈춰버린 죽음의 땅
포커스뉴스
l
2016.04.27
(서울=포커스뉴스) 1986년 4월 26일 우크라이나 공화국 수도 키예프시 남방 130km 지점에 있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의 제4호 원자로에서 사상 최악의 원전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당시 피해 규모와 현재 체르노빌의 모습을
포토
무비로 엮었습니다. 최문기 기자choe@focus.kr ...
밤하늘에 쏟아지는 우주폭포
2016.04.21
끔찍이도 시원하지 않을까.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이충환 기자의 ‘코스모스
포토
에세이’를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우주 속 별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2016.04.07
보여주는 실험실인 셈이다.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이충환 기자의 ‘코스모스
포토
에세이’를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우주 속 별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김기남 삼성전자 사장 "10나노 D램 개발 가능하다"
2016.04.06
특히 삼성전자는 미세공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낸드플래시 양산에 적용한 '사중
포토
노광 기술'을 업계 최초로 D램에도 구현, D램 핵심 공정 기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 ...
반도체 마의 벽 넘은 삼성 “中, 따라와 봐”
동아일보
l
2016.04.06
공정(웨이퍼 위에 전자 회로를 그리는 과정)으로 초미세 패턴을 4배 많이 형성하는 사중
포토
노광 기술을 업계 최초로 D램에 적용했다. 또 초균일 유전막 형성 기술로 D램을 구성하는 수십억 개 셀이 오랫동안 완벽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안정성을 확보했다. 2011년 9월 처음 20나노 후반대 D램 양산에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