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장
글월
작문
문자
글짓기
글씨
원고
스페셜
"
글
"(으)로 총 607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고]코로나 시대, 한국 연구자들의 엄청난 잠재력을 현실화하려면
2021.02.04
지영미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소장.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제공 2020년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전세계를 지배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 ... 김 국제 백신연구소 사무총장의
글
을 소개한데 이어 두 번째 편으로 지영미 한국파스퇴르연구소장의
글
을 소개합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력으로 공정하게 과학자를 평가할 수 있을까
2021.01.28
현실을 보며, 병마에 시달리던 85세의 나이에 '실력주의 타도'라는 짧은 칼럼을 썼다. 이
글
에서 그는 현재의 교육시스템이 소수의 선택받은 계층의 자녀들에게 혜택을 제공하며, 그 교육시스템에서 7살도 되지 않은 아이들에게 찍은 낙인이 평생 한 인간의 운명을 결정한다는 사실에 통탄한다. 현재 ... ...
계속되는 월성 원전 삼중수소 논란, 쟁점 짚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월성 주변 지역 주민이 1년간 삼중수소로 받는 피폭량이 바나나 6개 수준이라는 취지의
글
을 올리면서 논란에 불을 붙였다. 이 논란은 바나나에 자연 방사선인 포타슘40이 함유돼 있고, 포타슘40이 삼중수소보다 훨씬 위험하다는 주장에 따라 논란의 초점이 포타슘40으로 옮겨 갔다. 최성민 KAIST ... ...
[팩트체크]코백스 백신에 중국산 포함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중국산 백신은 신뢰도가 떨어져 코백스 백신을 맞아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일부
글
들은 여기서 더 나아가 곧 국내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 백신 종류에 대한 선택권이 없기 때문에 백신을 아예 맞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코백스 퍼실리티는 고소득∙저소득 국가 상관없이 전 세계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 이중나선 발견에 가려진 ‘암흑여사(dark lady)’ 프랭클린
2021.01.21
보장하며, 분자 속에 복잡하고 방대한 유전정보를 담는 것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전
글
에서도 소개했듯이 사실 슈뢰딩거의 《생명이란 무엇인가》에 영감을 준 이가 막스 델브뤼크였고, 델브뤼크에게 영감을 준 이는 닐스 보어였다. 보어는 물리학적 방법론으로 생명 현상에 접근하라고 주창한 ... ...
[특별기고] 코로나19 백신의 승인 이후 남은 과제와 질문들
2021.01.15
진행되고 있는 백신 접종의 현황과 과제에 대한 제롬 김 국제 백신연구소 사무총장의
글
을 소개합니다. 일부 내용은 15일자 동아일보 과학면에 소개했습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능력에 의한 평가는 과연 공정한가
2021.01.14
초래한 파국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단어다. https://news.joins.com/article/18949618 -김우재의
글
“오바마 단백질, 그리고 인종차별”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98%A4%EB%B0%94%EB%A7%88-%EB%8B%A8%EB%B0%B1%EC%A7%88-%EA%B7%B8%EB%A6%AC%EA%B3%A0-%EC%9D%B8%EC%A2%85%EC%B0%A8%EB%B3%84/ 특권층의 열생학 https://sisun.tistory.com/category/%EC%83%88 ... ...
[표지로 읽는 과학] 정자가 목표 잃은 채 빙빙 도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0
나타났다. 다이닌이
글
리실화 변형을 일으키지 않은 튜불린을 움직이지 못한 것이다.
글
리실화를 할 수 없도록 유전자를 교정한 수컷 쥐를 만들었더니 실제로 불임으로 확인됐다. 피지노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남성 불임의 기초가 되는 새로운 원리를 보인다”며 “정자 편모는 우리 몸의 ... ...
[프리미엄 리포트] 현존 최고의 자연어처리 인공지능 선발대회
과학동아
l
2021.01.09
받고 있다. 이미
글
루 벤치마크에서는 13개의 모델이 사람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고, 슈퍼
글
루 벤치마크에서도 사람에 근접하는 수준의 점수를 받는 모델이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주 교수는 “앞으로 자연어처리 AI의 역할이 더욱 강조될 것”이라며 “궁극적으로는 모델의 강점을 모두 결합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팬데믹의 희망과 과학자의 고난
2020.12.31
IwAR1PM2jcqGhO9GyLwV5dSd2RTiZBkPz7IMd82vo32Z9tUgH3fUsaXQ_byGU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14115 내
글
‘과학이 이긴다’를 참고할 것. -RNA에 대한 이야기는 김우재 [미르이야기]를 참고할 것. https://www.sciencetimes.co.kr/news/rna-%EC%9E%A1%EC%B4%88%EC%9D%98-%EC%8B%9C%EB%8C%80/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325922&SOURCE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