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스페셜
"
성공
"(으)로 총 2,5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생물 먹이가 된 플라스틱 쓰레기
2022.10.18
쓰레기에서 얻은 유기산 혼합물로 각각 특정한 물질을 생산할 수 있게 만드는 데
성공
했다. 대사공학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 ...
[탄소중립 최전선] ①꿈틀대는 탄소저장 비즈니스...척박한 환경을 '기회'로
동아사이언스
l
2022.10.17
연구개발(R&D)과 CCS 기술 실증 설계(디자인)를 거쳐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탄소저장 실증에
성공
했다. 이들은 화산지대에 흔히 볼 수 있는 현무암을 활용한다. 이산화탄소를 용해한 물을 현무암층에 주입하면 현무암에 포함된 칼슘과 마그네슘, 철 등 광물이 화학반응을 통해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 ... ...
[프리미엄 리포트] 태풍 힌남노 능가하는 슈퍼태풍 2~3년마다 올 수도
2022.10.15
우리나라는 오랜 기간 태풍 방재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방재 효과는 꽤
성공
적이었고, 실제로 태풍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그간 지속해서 감소했다. 1959년 태풍 사라가 한반도를 강타했을 때 사망자와 실종자 수는 무려 800명 이상에 달했고, 당시 37만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보다 최근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50년 묵은 ‘알고리즘’ 개선한 딥마인드 ‘알파텐서’
동아사이언스
l
2022.10.08
이 시스템은 50년 동안 성능을 개선하지 못했던 행렬 곱셈 알고리즘을 찾아내는 데
성공
했다. 컴퓨팅에 필요한 계산 작업을 실행하는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개선하면 계산 속도를 비약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딥마인드 연구진은 심층 강화 학습 기법을 활용해 2개의 행렬을 곱하는 ‘행렬 ... ...
[노벨상 2022] 양자컴퓨터·양자통신 시대 연 과학자 3명, 물리학상 영예(종합)
2022.10.04
교수는 지난해 1월 4600km 떨어진 곳에서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구현하는 데
성공
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 올해 물리학상 수상자들은 그동안 강력한 노벨 물리학상 수상 후보자로 예측돼 왔다. 지난해 과학전문지 인사이드 사이언스는 양자역학 분야 가장 유력한 후보로 알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을 넣어 진핵세포의 에너지 생성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 역할을 하게 만드는 데
성공
했다. 코아세르베이트는 고분자와 단백질, 핵산 등이 고농도로 녹아있는 액체 방울로 막이 없음에도 이런 물질의 농도가 낮은 주변 용액과 분리돼 안정하게 존재한다. 물에 이런 물질을 넣고 잘 저어준 뒤 ... ...
[노벨상 2022]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까"...해답 찾은 생리의학상 수상자
2022.10.03
소장은 러시아 데니소바 동물에서 4만년된 고대인의 손가락 뼈에서 DNA를 분석하는 데
성공
했다. '데니소바'라고 명명된 이 인류 조상은 과거 유라시아 동부에 살던 데니소바인들이 네안데르탈인과 이종교배했다는 고인류학 역사의 단서가 됐다. 페보 소장은 또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의 ... ...
[과기원은 지금] 고동연 KAIST 교수팀, 기체분리 전자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8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그간 분리에 어려움을 겪던 여러 기체 혼합물을 분리하는데
성공
했다는 데 의미를 가진다. 고 교수는 "2018년부터 시작된 수소 경제 도입 및 활성화 정책에 따라 수소 생산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며 "전자 조사를 통한 분리막 기반 분리 공정을 확대 적용해 국가 에너지 안보 ... ...
[과기원은 지금] 강주헌 UNIST 교수팀 혈액정화 치료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충분하다. 연구팀은 이 힘으로 분극 전환 영역의 너비를 10나노미터 보다 작게 만드는 데
성공
해 데이터 저장 용량을 획기적으로 높일 가능성을 찾았다. 영역의 크기를 작게 할수록 하나의 물질에 더 많은 데이터를 담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박막 위에 탐침으로 데이터 저장 영역을 그려낸 결과, 저장 ... ...
누리호 실렸던 큐브위성의 도전은 끝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KAIST 큐브위성 사출 순간을 담은 영상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지난 6월 발사에
성공
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에 실린 국내 대학 연구팀들 ... 기술에 대한 신뢰성이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6월 21일 2차 발사에
성공
한 누리호 발사 장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