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스페셜
"
이상
"(으)로 총 5,752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랫사람' 착취가 당연한 사회의 '그늘'
2023.07.08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많은 이들이 ‘나는 저렇게 살고 싶지 않다’고 또는 ‘더
이상
이렇게 살고 싶지 않다’고 생각한다. 사회에 대한 희망이 없기에 나라도 살 길을 찾겠다며 각자도생을 부르짖으며 물질적 가치에 대한 열망만이 점점 더 커져간다. 한국 미디어에는 높은 위치에 있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로음료 감미료 '아스파탐' 발암성 '진짜 의미'
2023.07.04
제공 ● ‘인공’이라서 위험한 것이 아니다 아스파탐(Aspartame)은 설탕보다 200배
이상
강한 닷 맛을 내는 감미료다. 1965년 미국의 제약회사에서 일하던 화학자 제임스 슬래터가 위궤양 치료제를 개발하던 중에 우연히 발명했다. 1879년 역시 미국에서 우연히 개발된 사카린과 마찬가지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속 무한에너지
2023.06.28
이는 수소가 청정 연료라는 전제가 충족됐을 때 얘기다. 현재 생산되는 수소의 90%
이상
은 많은 에너지를 들여(따라서 이산화탄소도 많이 나온다) 메탄에서 만들고 부산물로 이산화탄소가 또 나오는 그레이수소다. 이 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합치면 연간 9억 톤으로 항공 운항에서 나오는 양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시들해지는 과학영재학교 열풍
2023.06.20
더욱이 과학영재학교를 굳이 국립으로 운영해야 할 이유도 없다. 한국과학영재학교는 더
이상
교육기관이 아니라 과기부의 ‘산하기관’으로 전락해버렸다는 지적도 있는 형편이다. 정부가 과학영재교육을 전적으로 책임지겠다는 주장도 황당한 억지일 수밖에 없다. 결국 ‘국가 신동(神童)’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美 루이지애나 넘긴 이유는 '황열'...나폴레옹의 전쟁(3)
2023.06.13
있었지만 전쟁에서 입은 피해보다 황열에 의한 피해가 더 컸다. 전체 병사의 3분의 1
이상
이 목숨을 잃었고, 여름이 되어도 황열은 사라지지 않고 있었다. 르클레르는 협상을 가장하여 루베르튀르를 체포하여 프랑스로 보내는데 성공했지만 루베르튀르가 1803년 감옥에서 사망하기에 앞서 1802년 11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인구감소·의대쏠림·대학해체의 삼각파도에 휩쓸리는 대학
2023.06.07
퇴출이 대학의 정체성을 통째로 뒤흔들고 있다. 이제 우리 사회에서 대학은 더
이상
학문을 통해 미래의 인재를 도야(陶冶)하는 곳이 아니다. 당장 산업현장에 필요한 정체불명의 ‘융합’ 인재를 빠르게 양성하는 ‘직업훈련소’로 변질되고 있다. 정부가 교육개혁을 핑계로 밀어붙이고 있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X선의 위대한 도약, 단 한 개의 원자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6.03
촬영에 필요한 시료의 양을 줄였지만 X선으로 촬영 가능한 물질의 최소 원자량은 1만개
이상
이었다. 연구팀은 특수 제작한 싱크로트론 X선 장비로 단일 원자를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이 장비는 미국 아르곤 국립연구소의 첨단 광자 소스 및 나노물질 센터의 XTIP 빔라인에서 특수 제작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
2023.05.31
것이다. 어느 순간부터 MIT 팀에서 데이터 해석에 대한 정보를 주지 않기 시작했다.
이상
하게 느낀 김 교수가 책임자에게 묻자 교수의 지시였다는 말을 듣고 따졌지만, 리치는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고 펄쩍 뛰었다. 그럼에도 사실상 연구는 따로 진행돼 각자의 길을 가면서 최종 구조에서 결정적인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구급차·응급 환자 분류법 탄생과 나폴레옹의 전쟁(2)
2023.05.30
병사들은 아무 증상도 호소하지 않지만 영하 18도 이하로 병사들은 고통스러운 감각
이상
과 경직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화재와 같이 뜨거운 환경에 노출되면 온도의 급격한 변화가 세포와 조직이 괴사하는 원인이 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그는 감기가 발생하는 경우 시간당 약 0.5-1℃의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
2023.05.26
되면 수분충족감을 인식하는 뇌활밑기관 등과 같은 신체 부위가 이에 적응하여 더
이상
갈증 신호를 낼 수 없을 수도 있다고 한다. 수분 흡수를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일정량의 도파민이 채워지지 않는다면, 우리 몸은 다른 수단을 통해 이를 충족하려는 경향이 발생할 것이고, 가장 쉬운 방법은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