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구내
campus
덩크로우프로
켐퍼스
캠퍼쓰
켐퍼쓰
스페셜
"
캠퍼스
"(으)로 총 211건 검색되었습니다.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A: 그래닉 교수님과의 인연은 미국 유학시절 시작되었습니다. 일리노이대 어바나 샴페인
캠퍼스
재료공학과 박사 시절, 학위과정의 지도를 받았습니다. 당시 가둬진 고분자 물성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어요. 연성물질(액체 상태의 고분자)을 두 판 사이에 두고 간격을 좁히며 분자크기의 작은 층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뭐하는 거야? 큰일 날 뻔 했잖아...” “죄송합니다. 죄송합니다...” 알고 보니 봄철
캠퍼스
내 잔디를 태우는 분들이었다. 트럭을 타고 외곽도로를 지나가던 중 우리를 목격하고 이상해서 차를 세우고 달려온 것이다. 일부러 불을 내고 끄는 게 일인 사람들이! 만일 그때 그분들이 그곳을 지나가지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밝혔다. SCL 시험시설에서 초전도 부분의 첫 번째 빔을 보는 것이 목표다. 현재는 KAIST 문지
캠퍼스
에 마련된 SCL 시험시설에서 빔 인출 실험을 하고 있지만 2018년 3분기에는 관련 장치들을 대전 신동지구로 옮겨 설치할 계획이다. 박 연구위원은"신동지구에 가기 전까지 초전도가속기가 운전할 수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 남극 오존층을 구하는데 일조한 랄프 시세론
2017.01.04
위해 젊음을 바친 사람답게 시세론은 재임 7년 동안 어바인을 미국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캠퍼스
로 바꿨다. 2005년에는 미 국립과학원(NAS) 원장으로 취임해 올해 6월까지 11년 동안 봉직했다. 역시 이곳에서도 건물 곳곳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해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는데 신경을 썼다. 2011년 NAS는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 펨토초레이저로 화학반응의 명장면을 포착한 화학자 아흐메드 즈웨일
2016.12.27
지지했다. 2000년부터 추진해온 과학기술대 즈웨일시티의 10월6일시(6th of October City)
캠퍼스
가 2013년 마침내 문을 열었다. 중동의 불안이 가라앉지 않은 상태에서 즈웨일의 죽음으로 중동 과학의 봄이 제대로 꽃필 수 있을지 걱정이다. 8월 2일 그가 죽은 뒤 주검은 조국 이집트로 옮겨져 많은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간다면 우리 연구단은 대성공이라고 평가한다"고 말했다. 연구단의 시설은 구글
캠퍼스
처럼 벽을 없애고 싶었지만 관습과 규정상 그렇지 못해, 토론공간을 카페스타일로 만들었고 연구자들이 원하는 시간에 아무 때나 와서 칠판 앞에서 끙끙대며 연구할 수 있도록 했다. 실제로 방문하였을 때, ... ...
[타운이 만난 사람들_명사편] 요즈마
캠퍼스
김진아 총괄이사
2016.09.09
하기 위해서는 국내에서 기초적으로 모델링을 잘 준비해야 하는 부분이기에 정확한
캠퍼스
의 방향성은 아직 이야기 할 수 없을 것 같지만, 내부적으로는 지속적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창조경제타운에서는 아이디어를 가진 예비 창업가들의 사업화를 위해 여러 전문가가 멘토링을 ... ...
"광학 이미징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겠습니다"
IBS
l
2016.09.01
기능성 재료의 특성을 규명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 연구단은 지난 5월 19일 고려대 녹지
캠퍼스
R&D센터에서 개소식을 가졌습니다. 앞으로 분자 분광학을 이용한 광학 이미징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합니다. Q: 물리학을 전공하시고 바이오 이미징 연구에 몸담게 된 배경이 ... ...
땀 흘린 뒤 마신 시원한 맥주 맛을 잊을 수 없는 이유
2016.08.16
neuron)’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논문이 실렸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샌프란시스코
캠퍼스
생리학과 연구자들은 뇌의 시상하부 뇌활밑기관(subfornical organ)에 존재하는 갈증뉴런이 몸의 수분 상태를 예상해 갈증 반응을 조절함을 밝혔다. 즉 필자가 맥주 한 모금을 마시고 갈증이 가셨다고 느낀 그 ... ...
우주의 비밀 풀기위해 한국에 모인 암흑물질 연구자들
IBS
l
2016.08.02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은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액시온을 검출하기 위해 KAIST 문지
캠퍼스
에 검출장비를 구축 중이다. 검출장비는 절대온도 0도에 가까운 극저온(-273℃, 0.15K)의 환경을 유지할 냉동기 안에 자기장을 발생시킬 자석과 마이크로파 공진기를 설치해 만들어진다. 현재 이러한 장비 2개를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