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청
방
집회장
강당
전당
마루
대청마루
스페셜
"
홀
"(으)로 총 21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읽는과학] 뜨거운 곳 좋아하는 박테리아, 열적응 메커니즘 밝혀져
동아사이언스
l
2017.01.22
50m(≒160피트)나 되니까요. 거기에 70℃ 정도인 물 2100L 정도가 1분에 한 번씩 파이어
홀
강으로 흘러들어 갑니다. 사람이 개미처럼 보이는 걸 보면, 그랜드 프리즈매틱 스프링의 규모가 얼마나 큰 지 가늠해 볼 수 있다. - 위키미디어 제공 ● 아름다운 빛깔을 뽐내는 이유는 박테리아 덕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다른 몇몇 과학자들도 비슷한 아이디어를 떠올렸고, 1992년 우즈
홀
해양연구소 더글러스 프레이서 박사팀이 수년간 고생한 끝에 GFP 유전자 사냥에 마침내 성공했다. 그에게서 GFP 유전자를 지닌 대장균을 받은 컬럼비아대 마틴 찰피 교수는 1994년 촉각수용체세포에서만 녹색 ... ...
2014년 아이슬란드 화산피해 줄인 일등공신은 ‘빙하’
동아사이언스
l
2016.07.17
2014년 폭발은 유럽에서 관측된 것 중 가장 강력한 것으로 꼽힌다. 지금도 화산체 북쪽
홀
루라운 용암지대에서는 용암이 뿜어져 나오고 있다. 연구진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지진관측 장비 그리고 지구화학적 자료를 이용해 폭발을 분석했다. 그 결과 화산폭발 규모에 비해 피해가 적은 것은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6.04.25
신체조직의 원래 상태에 있는 세포를 시각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호주 월터&엘리자
홀
의학연구소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그 이유를 위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실제로 1984년 생쥐의 젖샘에서 핵이 두 개인 세포가 존재한다는 보고를 한 논문이 나왔지만 조직시료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긴 인위적인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교수의 아내로 화가인 엘렌을 알게 됐다. 이 인연으로 모리스는 아들을 여름방학 때 우즈
홀
해양생물학연구소에서 보내는 헤일브룬에게 보낸 것. 소년은 실험기기를 닦는 일을 할 줄 알았는데 헤일브룬이 부르더니 “여기서 일하는 사람은 누구나 자기 연구 프로젝트가 있어야 한다”며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암치료법 개발에 영감을 준 ‘크리스토퍼 마셜’
2016.01.04
관여하는 신호에 교란이 생길 경우 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말이다. 1993년 이직한
홀
과는 달리 마셜은 암연구소에 뿌리를 내렸고 사망 당시에도 연구소장 자리에 있었다. ‘사이언스’ 11월 27일자에 부고를 실은 영국 맨체스터대 리처드 마레 교수에 따르면 마셜은 광범위한 지식을 갖고 있는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3)세포의 신호전달체계를 밝힌 세포생물학자 '앨런
홀
'
2016.01.03
옮긴 뒤에도 LMCB와 관계를 유지하며 양국 연구자들의 교류에 힘을 쏟았다. 30년여에 걸친
홀
의 연구는 세포의 신호전달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큰 기여를 했을 뿐 아니라 신호전달 오류의 결과인 암을 치료하는 약물 개발에도 큰 영감을 줬다. ※ 필자소개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 ...
백년대계가 낳은 값진 열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진행됐다. 사진1.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인증서 수여식이 국립과천과학관 어울림
홀
에서 열렸다. © KISTEP 올해 우수성과는 총 5만 3천여 개의 연구개발사업 중 각 부처로부터 추천받은 600여 건의 후보 과제에 대해 전문가들이 과학기술 개발효과, 창조경제 실현효과 등을 기준으로 엄정한 심사를 검쳐 ... ...
해양생물도 자원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관련 계획들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은 그 일환인 국립해양생물자원관 1층의 ‘씨드
홀
’ 전경. 충남 서천에 2015년 개관하여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기후변화는 미시적인 생태 연구의 필요성을 더욱 높였다. 한반도 인근 해역의 수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 ...
세계에서 가장 큰 섬 그린란드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녹아내린 그린란드 빙하가 지구 해양 생태계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2013년 미국 우즈
홀
해양연구소 연구팀은 그린란드의 빙하에서 매년 30만t의 철분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두꺼운 얼음 아래에는 천연자원이 가득 세계는 그린란드의 얼음이 녹을까 걱정이지만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