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눈부시게 잠 못 드는 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밝은
빛
은 강도를 줄이거나 아예 꺼버리겠다는 얘기죠. 친구들도
빛
공해를 줄일 수 있어요. 잠들기 전에 방 안의 조명이나 컴퓨터, TV는 꼭 끄세요. 또 어두운 침대 안에서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일도 줄여보세요. 내일은 오늘보다 훨씬 더 건강하고 활기찬 아침을 맞이할 수 있을 ... ...
‘실제 잎’처럼 광합성 하는 ‘인공 잎’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하는 엽록체에 주목하고 있답니다. 식물세포 안에 들어 있는 기관인 엽록체는 햇
빛
을 받아 광합성을 해요.최근 영국왕립예술대학교의 학생인 줄리안 멜키오리는 미국 터프츠대학교와 공동연구팀을 이뤄 실크단백질 안에 엽록체를 넣어 인공 나뭇잎을 만들었어요. 이 인공 나뭇잎은 실제 잎처럼 ... ...
9월 9일에도 슈퍼문 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밤하늘에서 환하게
빛
나는 이유는 태양
빛
을 반사하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보름달이 평소보다 지구에 가깝게 다가오면 크기가 더 커 보이고 밝기도 더 환하게 보인대요. 바로 ‘슈퍼문’ 현상이지요. 지난 달 밤하늘을 환하게 비춰주었던 슈퍼문을 친구들도 보았나요?지난 8월 11일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대표적인 예다. 녹사평역은 중앙 돔 형식의 역으로 뻥 뚫린 유리 천장을 통해 자연적으로
빛
이 들어온다. 이 때문에 외국인들이 꼭 들리는 관광 명소가 되기도 했다. 9호선 고속터미널역도 영국 토목학회의 메달을 받을 정도로 아름다운 역으로 손꼽힌다. 아치형 천장이 길게 늘어서서 마치 미술관에 ... ...
세상에서 가장 까만 검은색!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최근 영국의 나노전자기업인 서리 나노시스템즈 전문가들이 세상에서 가장 까만 검은색 ‘밴타블랙’을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물질이 특정한 색깔을 ... 가려 군사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또 망원경의 효율을 높여 희미한
빛
을 내는 별도 관찰할 수 있다고 기대했지요 ... ...
높이가 달라 더 짜릿한 원마운트 워터파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튜브에 몸을 맡겨 봐. 계곡, 급류, 동굴을 거치며 작은 모험을 즐길 수 있거든. 또
빛
과 음악, 물폭탄이 어우러진 판타스틱플렉스에서도 신 나게 놀 수 있단다.올 여름은 신 나고 재미있는 워터파크에서 짜릿하게 보내지 않을래? 우린 원마운트 워터파크에서의 짜릿함을 잊을 수 없어서 또 가려고 해. ... ...
밀물 썰물로 전기가 찌릿찌릿 시화호 조력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있어. 저녁이 되면 해가 지는 아름다운 풍경을 보며 거닐 수 있는 산책로, 햇
빛
으로
빛
을 내는 연꽃과 갈대 모양 가로등이 있는 ‘스마트가든’이 있지. 또 푸른 잔디마당과 휴게소도 있어서 가족끼리 소풍 가기 좋은 아주 특별한 발전소야.조력문화관 100배 즐기기!지난 6월 25일, 시화호조력발전소의 ... ...
여름밤을 흐르는 우윳
빛
강물 은하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은하수를 찍을 수 있을까요? 노출을 길게 해 촬영하는 앱을 사용하면 밝게
빛
나는 별들을 찍을 수 있어요. 하지만 카메라로 찍을 때처럼 밝고 선명하게 촬영하기는 어렵답니다 ... ...
[화보] 자연의 경이로운 순간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작가가 이 지역을 찾았을 때는 오직 한 그루만이 살아남은 상태였다. _맥 스톤][분홍
빛
섬광 방가이카디널은 검은 줄무늬를 가진 열대어다. 흰동가리처럼 말미잘을 보금자리로 삼는 물고기인데, 작가는 이들이 말미잘에 모여드는 순간을 포착했다. _패트릭 바투스카]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는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한번 확인해보시죠”라고 대답했다.역사와 전통의 실용주의숭실대의 ‘실용주의’가
빛
을 발한 것은 1970년부터다. 숭실대는 그 해 국내 최초로 전자계산학과를 창설했다. 컴퓨터에 대한 개념이 무척 낯설던 시기다. 하지만 숭실대의 실용적인 도전은 큰 성공을 거둬 IT는 현재 숭실대를 대표하는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