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아니다”라고 말했다. 실제 황우석 박사의 논문조작 사건 당시에도 학계에서는 “인간의 세포에서 처녀생식이 일어났다는 사실만 가지고 논문을 발표했어도 큰 주목을 받았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그만큼 드문 현상이라는 의미다. 박 연구위원은 “유전자 교정을 한 배아에서 정자의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연구를 시작했다. 6개월 뒤 두 사람은 키모트립신이라는 효소의 구조와 작용 원리를 세계 최초로 밝혔다. 헨더슨 박사는 기자에게 그림 한 장을 보여줬다. LMB 연구원들의 공동 연구 관계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였다. 마치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LMB에서는 연구 그룹 간의 장벽이 없다는 게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제는 이 상황을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정부도 그런 것 같아요.” “세 사람이 함께 밖으로 나간다는 생각은 안 해보셨습니까?”“해봤죠. 그런데 어디로 간단 말입니까?”“글쎄요. 태양계 외곽이라든가.” “명왕성에서 장염에 걸리면 어떻게 하지요? 그런 문제는 현실 ...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용각류는 공룡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공룡이에요. 기린처럼 긴 목으로 나무 꼭대기에 있는 잎을 따 먹지요. 그런데 용각류 공룡들이 식물 이외에 돌도 먹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 하지요. 과연 위석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앞으로 밝혀질 새로운 연구 결과를 기대해 주세요 ... ...
- [과학뉴스] ‘세레스’ 지형에 한국 신(神) 이름 붙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큰 천체인 왜행성 ‘세레스(Ceres)’에 한글 지명이 붙은 것으로 확인됐다. 왜행성의 지명이 한글로 명명 ... 현재 상공 약 23만8000km를 돌며 지구로 자료를 보내고 있다. 자청비를 포함해 지금까지 세레스에서 지명이 확정된 크레이터는 115개다 ... ...
- [Issue] 미역국 먹으면 대학 떨어진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최저기온이 영하로 떨어진 경우는 2001년(11월 7일)과 2006년(11월 16일), 2014년(11월 13일) 단 세 번뿐이었으니까요. 그나마도 낮에 곧바로 추위가 풀렸습니다. 시험 보는 날이 특히 춥다는 인식은 아마도 1960~1970년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도 입시가 있던 시절에 생겨난 속설이 아닐까 추정됩니다. 그때는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라이고 과학협력단이 수 년 전부터 다중신호 천문학의 관측 체계를 구성하기 위해 전 세계의 천문대, 위성 프로젝트들과 긴밀하게 협력해온 데에 따른 쾌거였다. 이번 관측은 중력파를 이용한 다중신호 천문학이 시작된 최초의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이는 시작일뿐이다. 앞으로 중력파를 이용해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말했다. 한 씨는 현재 입자물리, 우주론, 군이론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세 주제 모두 너무 재미있어서 향후 목표는 아직 정하지 못했다고. 커피와 음악에 대한 열정도 커서 언젠가 재즈 카페를 운영하는 것도 소원이란다. “지금까지 제가 흥미를 느끼는 것들을 해왔고, 앞으로도 ...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용연향을 내는 앰브리놀과 앰브레인을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머스크는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아 연간 1만t(톤) 이상 생산된다. 지금까지 밝혀진 합성법만 수백 가지, 합성 머스크(무스콘 화합물) 종류만 23종에 이른다. 게다가 합성 머스크는 꽃이나 열매 등 식물성 향료에도 빠지지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단위를 대신하기에 충분히 안정적이라는 데 최종 합의를 봤다. 플랑크 상수에 대해 전세계 기관의 합의가 이뤄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단위자문위원회는 이번에 논의한 플랑크 상수를 10월에 열린 국제도량형위원회(CIPM)에 올렸다. 내년 6월 CIPM에서 한 번 더 검토를 마치면 2018년 제26차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