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리"(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고통, 수술 후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다면 키를 ‘확실하게’ 키울 수 있다.수술 원리는 간단하다. 우선 종아리뼈를 자르고 틈새를 벌린다. 그 다음 ‘일리자로프 링’이라는 특수한 원통형 기구를 채운다. 일리자로프 링이 하는 역할은 2가지다. 첫 번째는 벌어진 뼈의 틈새를 계속해서 늘려주는 ... ...
- 그리는 대로 만들어진다! 3D PEN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드라디오 장치를 연필 대신 붓에 연결해 ‘천재의 그림놀이’라는 장난감을 만들었다. 원리는 드라디오 연필과 같은데 흑연 대신 물로 전류가 흐른다. 물이 묻는 곳이면 어디든 그리고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수채화 물감으로 그림을 그리면서 효과음을 내거나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선생님들은 ... ...
- [career]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작은존재, 살인 진드기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어느 가정집에서나 볼 수 있는 베개, 이불, 침대매트리스, 담요, 카펫 등에 집먼지진드기가 많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특 ... 원리가 복잡한 물건들이 많다. 많은 사람들이 이와 같이 매우 간단한 물건에도 궁금증을 갖고 원리를 밝혀내는 작업을 많이 하면 좋을 것 같다 ... ...
- [매스 미디어] 돌고래는 수학 천재? 돌핀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사냥하는 돌고래?돌고래가 본능적으로 먹이를 잡기 위해 활용하는 비선형방정식의 원리는 대략 다음과 같다. 돌고래의 소리, 수학적으로 들어 보자!돌고래는 사냥할 때뿐 아니라 서로 의사소통을 할 때도 초음파를 활용한다. 초음파가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를 모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 ...
- [생활] 수학탐정 M 로슬린 성당의 비밀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역학>을 출판하면서, 클라드니의 연구를 이어갔다. 제니 박사는 클라드니 도형과 같은 원리로 모래, 씨앗, 철가루와 같은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진동하는 판 위에 놓고 만들어지는 무늬들을 정리했다. 그는 이를 ‘싸이매틱스’라는 학문으로 정의했다.또한 한스 제니는 물이나 마른 모래처럼, ... ...
- PART 2. 천재들의 엉뚱한 행동, 세상을 바꾼 괴짜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의해 열이 발생해 온도가 상승한다는 결론을 얻었대. 그리고는 자신이 주장한 열역학 원리에 따라 추운 겨울에 온도가 상승하는 것은 열역학 평형에 맞지 않는다며 소를 몽땅 팔아버리고 잉어만 키웠대. 결과는 어찌 됐냐고? 네른스트의 농장은 다시 추운 겨울을 맞이했고 네른스트가 몹시 ... ...
- PART 2. Sixth Sense Mobile!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검색이다. 문맥까지 파악해 간단한 수준의 문답까지 할 수 있는 구글 음성 검색은 어떤 원리로 가능해진 걸까. 스콧 허프만 부사장은 “오디오 신호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술과 신경망 이론에 의해 가능해집니다”라고 설명했다. 물론 자연어 문답 수준의 구글 음성 검색은 현재 영어로만 가능하다 ... ...
- 아니, 의사 양반 이게 무슨 소리요? 병원이 나쁘다니…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사람들에게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를 했더니 건강해졌다”고 주장하지만, 어떤 원리로 병이 나았는지 원인을 규명하지 못합니다. 경험을 들먹이며 몇 가지 사례를 과장합니다. 주류 의학계의 반박을 받으면 ‘박해를 받으며 진실을 위해 싸우고 있는 순교자’라고 호소합니다. ‘현대의학이 ...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어떤 관심사를 갖고 있는지, 또 다른 어떤 것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수학의 원리인 행렬로 계산해 낸다”고 설명했다. 구글 지식그래프 검색에서 ‘엔터티’라는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컴퓨터 사이언스에서 엔터티는 ‘실체’라는 의미인데 정보학의 관점에서는 의미있는 정보의 단위 ...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과학에 다시 의식을 불러오려는 시도”라고 설명했다.어쩌면 생각지도 못했던 엉뚱한 원리가 실험 결과를 설명할지도 모른다. 아니면 2년 전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처럼 단순히 잘못된 실험이거나 잘못된 해석일 수도 있다. 현재로서는 양자역학이나 생각의 힘보다는 그쪽이 훨씬 가능성이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