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뇌에서 인지하는 것이다. 사람은 본능적으로 뇌가 맛있다고 인지하면 즐거움을 느끼도록
유전
정보가 저장돼 있다. 이미 먹어봤던 음식에 대한 기억이 남아 있어 그 음식을 입에 넣었을 때나 냄새를 맡았을 때 침이 혀에 저절로 고이는 경험은 누구나 해봤을 것이다.맛을 내는 물질은 침이나 물에 ... ...
[통합과학]
유전
정보의 변화와 표현형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해독틀 #3 T/AGA/TCG/ATC/CTA/GCC/ATG/GCA/CGT/AG → 종결코돈 없음 따라서 해독틀 #3을 적용해서
유전
정보를 해석해야 한다. 해독틀 #3을 적용한 경우 다음의 세 가지 돌연변이가 나타난다. 균주 1 : TCG → TTG은 세린 → 루신 균주 2 : ATC → ATT은 이소루신 → 이소루신 균주 3 : GCA → GT ...
범고래와 들쇠고래, 사람과 닮아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그러자 암컷은 나이가 들어 새끼를 직접 낳는 것보다 자손의 새끼를 돌보는 것이 자신의
유전
자를 가진 개체수를 늘리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두 고래를 위한 수학 모형을 사람에게도 적용하자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존스톤 박사는 “이 결과는 이 3종이 ... ...
아핀변환으로 해석한 핀치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크기에 영향을 주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결국 갈라파고스에 살게 된 핀치는 이들 몇몇
유전
자의 발현패턴을 변화시킴으로써 서식 환경에 따라 구할 수 있는 먹이에 맞게 부리의 형태를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진화시킨 게 아닐까. 이런 점에서는 진화가 아주 느리게, 점진적으로 이뤄진다는 ... ...
내 몸속
유전
자 99%는 미생물의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약 200만 개 들어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사람의
유전
자는 3만~5만 개다. 결국 인체 내
유전
자의 99%는 사람의 것이 아니다. 사람이 ‘사람처럼’ 살 수 있는 이유는 이로운 미생물 덕분이다.의학이 발달하면서 사람은 세균 감염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치료제를 만들고 백신을 개발해 왔다. 동시에 ... ...
자기 세포로 인공 폐 배양해 이식 성공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폐포와 모세혈관, 폐동맥, 기관지가 생겼다. 연구팀은 바이오리액터에서 폐를 꺼내
유전
적으로 동일한 쥐의 몸에 이식했다. 45~120분이 지나자 폐는 일반 폐와 비슷하게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성공적으로 교환했다.니클라슨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폐를 미세한 구조까지 거의 완벽하게 재생시켰을 ... ...
개의 조상은 중동 늑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진화하면서 그런 능력이 더 발달했다는 거죠. 앞으로 한은정 연구원은 개를 개답게 만든
유전
자를 더 찾아내 분석할 거라고 해요. 사람과 더 얘기 하다가는 개로 길들여질 것 같으니 인터뷰는 이제 그만~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
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쥐는 고지방 사료를 제공받은 쥐보다 더 먹고 체중도 더 많이 늘어났다.1994년 비만
유전
자의 발견과 렙틴의 규명 이후 비만의 생리학에 대한 연구 결과가 엄청나게 쌓여왔지만 비만을 치료하는 ‘묘약’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아마도 비만에 대한 최선의 해결책은 ‘덜 먹고 더 활동하라’는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시대 성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몸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M2단백질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이루는 다른 단백질에 비해
유전
적인 변이가 거의 없다. 이를 이용하면 변종 바이러스에도 효과적인 백신을 만들 수 있다.연구팀은 M2단백질에 대항하는 항체를 찾아내기 위해 건강한 사람 140명의 혈청을 수집했다. 그 중 M2단백질에 양성 ... ...
100살 노인
유전
자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7월 8일자에는 미국 듀크대
유전
학자인 데이비드 골드스타인 박사가 “이번 장수
유전
자 연구는 명백한 오류”라고 반박한 내용이 실렸다. 이에 대해 펄스 박사는 “실험하는 중간에 오류가 발견되긴 했지만 전체 결과에 큰 영향은 끼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사이언스’에서도 펄스 박사의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