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동기선
보트
보우트
동력선
모터보트
함재정
작은보트
d라이브러리
"
작은배
"(으)로 총 3,250건 검색되었습니다.
더해도 똑같은 직사각형의 마술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Q8개의 조각으로 옆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을 만들었다. 여기에 정사각형 조각(9번)을 집어넣어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을까? 그리고 다시 9번 조각보다 2배 큰 직사각형(10번)을 집어넣어 여전히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을까? A지난 설 연휴에 일본 마술사 미스터 마릭의 쇼가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텍사스주 크기의 소행성이 지구로 돌진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핵폭탄을 소행성 속에 장치해 이를 파괴하려 한다. 유전 굴착 전문가들이 작업에 투입된다.”1998년 개봉한 영화 ‘아마겟돈’의 줄거리다. 영화에서는 작은 소행성이 파리 시내에 떨어져 에펠탑이 눈깜짝할 새에 사라지는 모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 2015년 어느 봄날 아침. 만개한 꽃을 뒤로하고 연구원 A씨는 국회의사당 옆 의원회관을 향해 걸어가고 있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소속 B의원과의 약속 시간은 아직 30분이나 남아 있다.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나 주요 공공건물에서 불특정 대중을 대상으로 무기나 폭탄의 원격 검색을 가 ... ...
2005 서울모터쇼를 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세계 각국의 첨단 자동차와 미래기술이 한자리에 모인 2005 서울모터쇼가 4월 28일부터 5월 9일까지 경기도 일산 한국국제전시장에서 열린다. 1995년 이래 격년으로 열리고 있는 이 전시회엔 올해 10개국, 179개 자동차 관련 업체가 참가한다.올해 주제는 ‘변화, 계속되는 놀라움’. 참가 업체들도 이에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17세기 공기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진공에 대한 관심과 맞닿아 있다. 당시 대부분의 학자들은 자연이 진공 상태를 싫어하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 아무 것도 없는 완전히 텅 빈 공간 같은 것은 없다고 믿었다.하지만 1643년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토리첼리는 실험으로 진공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했 ... ...
나만의 전속 영양사 - 유전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같은 음식을 먹더라도 사람들은 다른 반응을 보인다. 일부는 체중이 그대로 유지되는 반면 어떤 사람들은 살이 찌기도 한다. 어떤 음식은 소화가 잘 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먹었다 하면 탈이 나는 사람도 있다. 같은 식습관을 가졌더라도 어떤 사람들은 병에 걸리고 어떤 사람들은 걸리지 않기도 ... ...
"여러분의 꿈을 남극에서 펼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망망한 바다를 헤치며 흰 고래를 잡기 위해 항해하던 에이햅 선장은 고래와의 오랜 싸움에서 이기지만 결국 고래와 함께 바다에서 최후를 맞이하게 됩니다. 허먼 멜빌이 지은 소설‘백경’의 내용인데요. 이 책을 읽으며 미지의 세계에 대한 꿈을 가슴 깊이 간직한 소년이 있었답니다. 바로 장순근 ... ...
과학으로 승부한다, 아디다스 원 넘버 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달리기에 ‘중독’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국내에서 마라톤을 즐기는 인구만 10만명에 달한다. 간편한 옷차림에 운동화 한 켤레만 있으면 어디서나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달리기를 만만하게 보다가는 부상을 당할 수 있다. 달리기는 물리적으로 보면 ‘충돌’의 연속이다. 지면에 한 발 ... ...
차세대 정보통신기술 흐름 한자리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지난 3월 10일 막을 올린 ‘세빗(CeBIT) 2005’ 취재를 위해 찾은 독일 북부 도시 하노버의 하늘은 수개월간 계속된 우기로 먹구름만이 잔뜩 끼어 있었다. 구(舊)동독과 서독을 잇는 가교인 이 도시의 시내를 지나 남쪽으로 내려가자, 여의도 면적과 맞먹는 규모의 초대형 전시장이 나타났다. 마치 궂은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1796년 영국 의학자에드워드 제너가 천연두를 예방하는 우두접종법을 개발한 이후 ‘백신=아픈 주사’라는 공식이 성립했다. 인류는 간염, 소아마비, 홍역, 독감, 디프테리아 등 수많은 병을 백신주사로 물리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아픈 주사 없이 예방 접종을 할 수 없을까. 치료 효과는 높고 고통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