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합
통일
동화
집대성
융합
병합
집중
뉴스
"
통합
"(으)로 총 2,568건 검색되었습니다.
배터리 필요없는 피부 부착 심전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생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요소 기술을 실현한 것”이라며 “무선 전송 시스템과
통합
함으로써 차세대 센서 시스템의 기반 기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9월 27일자로 게재됐다. ... ...
[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09.2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실장급 △정보통신정책실 장석영 △4차산업혁명위원회 지원단 최영해 ▽국장급 △인터넷융합정책관 김정원 △기초원천연구정책 ... NTIS 최한림 △제도혁신센터 기관평가 김이경 △국제협력 김진하 △과제지원시스템
통합
실무추진단(TF) 기획제도 김주호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5관. 신약 개발로 이어진 전통 약재의 생명력
2018.09.21
노력도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연구팀은 한의학자인 최원철 박사(전(前) 강동경희대병원
통합
암센터장)가 개발한 옻나무 추출물 치료제를 이용해 말기 전이성 신장암 환자 두 명을 성공적으로 치료한 경과를 국제학술지 ‘종양학 연보’ 2010년 4월 2일자에 발표했다. 물론 천연물을 이용한 신약이 ... ...
[여기에 과학]美허리케인 세기등급, 한국과 어떻게 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14
호주 인근에서 발생하던 것을 '윌리윌리'라고 불렀는데 2006년부터 사이클론으로
통합
됐습니다. 이처럼 저마다 명칭이 다른 것은 각 지역 원주민들이 예부터 부르던 말이 달랐기 때문입니다. 아시아에서 쓰는 태풍은 중국 문화권이 큰 영향을 미쳤던 역사적 배경에 따라 중국식으로 ... ...
바이오헬스 일자리 4만개 만든다
동아일보
l
2018.09.12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식약처의 의료기기 허가와 복지부의 신의료기술 평가가
통합
운영돼 인허가 기간이 평균 250일로 줄어든다. ‘K뷰티’ 등 화장품 산업 육성을 위해 화장품류 규제도 합리화된다. 현재 화장품 상자에서 용기를 빼고 남은 공간은 전체의 35% 이내로 제한돼 있다. 과대포장을 ... ...
'질풍노도' 청소년기, 일탈은 ‘통증’ 산물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1
“근골격계 질환과 인과관계가 없을지라도 청소년 개개인의 건강 관리에 대해
통합
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캠퍼 교수는 “청소년 건강을 이야기할 때 통증을 반드시 포함해서 논의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불행히 우리는 이 연령대 아이들이 어떤 고통을 ... ...
[과학게시판] 베트남 KIST 설립지원 워크숍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09.06
신호교신에 대한 네트워크 연구를 진행하고, 관련 기술 개발을 통해 사업화를 꾀하는 등
통합
형 융합연구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인공지능(AI) 전용 학습공간인 ‘AI 랩’을 6일 오전 개소했다.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PC 실습실로, 인공지능 연산에 유리한 ... ...
세균으로 충전하는 종이배터리
과학동아
l
2018.09.06
이 바이오센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바이오센서와 잘
통합
되는 종이배터리를 만들었다. 종이배터리에 물이나 침을 묻히면, 몇 분 내로 동결건조됐던 세균이 활동을 시작해 전력을 만들어 낸다. 최 소장은 “종이는 값싸고 유연하면서 표면적도 넓기 때문에 재료로서 ... ...
글로벌 제약사 국내 벤처에 1년간 매달린 이유…“기초연구 성과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기초과학 그 밖에 우수 성과 사례 10선으로는 △위상수학과 대수기하학의 두 이론을
통합
해 새로운 4차원 공간을 찾아 60여 년 간 세계 수학계의 난제를 푼 박종일 서울대 교수 △전자 스핀 양자현상을 통해 차세대 자기 메모리 소자의 작동 원리를 밝힌 이경진 고려대 교수·박병국 KAIST 교수의 ... ...
오래써도 끄떡없는 ‘고효율 연료전지’ 개발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4배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를 주도한 권오훈 UNIST 에너지공학과 석‧박사
통합
과정 연구원은 “기존에는 전극을 만들 때 코발트와 니켈 등 촉매반응을 높이는 이들 물질을 단순히 첨가하는 수준에 그쳤는데, 새로운 촉매는 점점 더 표면으로 올라오도록 설명한 것이 차이점”이라고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