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스페셜
"
지적
"(으)로 총 2,128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가,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
2018.03.17
무시하는 게 흥미로운 부분이다. 피해자의 귀책사유를 찾는 데만 특화된 이러한 인
지적
편향은 성범죄자에게 ‘내가 이러이러해서 성폭력을 저질렀다고 하면 사람들은 내가 아닌 그 여성을 비난할 것이다’는 메세지를 주어 성범죄자로 하여금 높은 자신감과 당당함을 유지하게 돕는다. 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
2018.03.10
한다고 생각한다. Polaschek는 이는 오래된 성차별적 고정관념에서 비롯한 인식이라고
지적
한다. 남성은 여성보다 우월하고 여성은 어리석으므로 남성이 여성의 성을 통제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여성의 행동 중 무엇이 허용되는지, 또 무엇이 허용되지 않는지를 남성이 정하고 여성이 자신이 정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미투의 외침 나오는 이유? 성폭력 권하는 사회
2018.03.03
꿈을 꺾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라고 언급하며 이는 사회적, 국가적 손실이기도 하다고
지적
했다 [7]. 앞날이 창창했지만 성폭력으로 인해 꿈을 포기해야했던 여성들이 많다는 것이다. 돌이켜보면 필자 역시 학교와 대학원 등에서 성희롱 발언을 듣거나 교수들의 성폭력 혐의에 대해 듣는 일이 적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찾은 것일 뿐 존스와 오펜하이머는 오늘날의 관점에서 당시를 바라봐서는 안 된다고
지적
한다. 즉 당시는 논문에 누가 돈을 댔는지를 언급하지 않는 게 관행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디언’ 기사에서 희생양으로 그려지고 있는 유드킨 역시 식품업계와의 끈끈한 관계(물론 꼭두각시였다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적당한'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2018.02.03
하면 시험을 잘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힘을 내서 열심히 공부하면 좋겠지만,
지적
능력에 대한 자신감에 우쭐해하기만 하고 정작 공부를 하지 않으면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또한 걱정은 항상 쓸데없는 것이라는 생각과 달리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일례로 걱정을 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수반되는 감정의 강도가 약한 경험은 좀처럼 기억하기 어렵다. 대표적인 예가 공부다.
지적
호기심으로 가슴이 터질 것 같은 학생도 없진 않겠지만 대부분은 매일 반복되는 수업에 무관심해지고 따라서 공부가 잘 안 되기 마련이다. 즉 배운 걸 돌아서면 잊어버린다는 말이다. 이스쿠이에르두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있다는 내용이다. 이에 대해 반박 서신들은 통계 처리의 오류를 비롯한 여러 문제점을
지적
하면서 최대수명이 정점을 쳤다는 주장은 시기상조라고 반박하고 있다. 그럼에도 1997년 122세에 사망한 프랑스의 잔 칼망 여사가 2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최장수자로 기네스북에 올라있다. 장면3. 지난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것이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이 수백 가지나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논의는
지적
만족을 줄지 몰라도 외계생명체가 발견되지 않는 한 ‘과학자들의 수다’에 불과하다. 1DNA의 유전정보가 RNA를 거쳐 단백질로 번역된다는 ‘센트럴 도그마’를 제창한 프랜시스 크릭은 1968년 발표한 한 ... ...
정말 남자가 더 위험추구 성향 높나
2017.11.04
행동의 경우 그 행동의 ‘결과’나 실제 ‘위험의 정도’가 남녀에 따라 다르다는 점도
지적
했다. 문란한 성생활의 경우 최악의 상황을 가정했을 때 여성의 경우 임신과 그로 인한 신체적 부담을 질 수 있고 또한 사회적으로 ‘창녀(slut)’라는 비난까지 지게되는 반면 남성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경우 환자의 심리(마음)가 병의 증세나 회복속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저자는
지적
한다. 치료 과정에서 환자의 마음은 고려 대상이 아닌 오늘날 의료체계가 문제라는 것이다. ‘기적의 치유력’의 주제는 한 마디로 현대 의료체계가 환자 개인의 ‘마음의 힘’을 제대로 인식해 치료 과정에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