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2,575건 검색되었습니다.
1. 역사속의 암호
과학동아
l
199706
그림이 그려진 총면적이 5백km2에 달한다. 각 그림의 전체 윤곽을 파악하려면 적어도 3백m
높이
에서 내려다봐야 한다.그림의 테두리선은 땅에 박힌 자갈 두줄로 구성된다. 자갈이 현재까지 보존된 이유는 비가 거의 오지 않는 기후적 특성 탓이다. 학자들은 이 테두리선을 만들기 위해 수t의 자갈을 ... ...
플라스틱소
과학동아
l
199706
그을리지 못했다. 전문가가 다시 말했다.“내화 플라스틱이 분명합니다.”소는 이제 20층
높이
로 커져 있었다. 소가 걸음을 옮길 때마다 도로가 내려앉고 땅이 흔들렸다. 건물들도 소의 몸에 부딪혀 무너졌다.갖가지 대책들이 모두 무용지물이 되자, 통신망을 통해서 대안들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 ...
과학으로 푸는 고대 전투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05
찍은 뒤 다른 쪽 끝에 무거운 추를 달면 거북선이 가라앉을 수 있었다. 거북선의 강점은
높이
가 낮아 근접했을 때 다른 배에서 잘 보이지 않았다는 점과 이 틈을 노려 대포로 배의 옆부위를 파괴시켜 배를 가라앉힐 수 있다는 점이었다. 당시 일본인들은 거북선을 눈에 안띈다는 뜻에서 ‘맹선’(盲船 ... ...
바람기둥을 좇는 과학자들 이야기 트위스터
과학동아
l
199705
토네이도 앞에까지 가서 장비를 밀어 넣고 와야 하는 상황은 영화의 극적 효과를
높이
기 위해 마련된 장치로 보인다. 신의 분노를 짓궂은 장난으로시나리오를 쓴 마이클 크라이튼과 그의 아내 앤 매리 마틴은 자연재해가 가져온 대혼란의 비극을 특수효과로 말끔히 포장해서 신나는 스릴로 바꾸어 ... ...
뉴턴의 3가지 운동법칙
과학동아
l
199705
부딪혀 갑자기 멈추게 되고 이에 따라 심한 상처를 입는다. 시속 70km는 5층 정도의
높이
(약 20m)에서 떨어졌을 때 바닥에 닿는 속력이다. 그러나 안전벨트를 매게 되면 속력이 서서히 줄기 때문에 작은 힘을 오래동안 받게 된다.마찬가지로 자동차의 범퍼는 잘 찌그러지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충돌했을 ... ...
Ⅱ. 모르면 마술, 알면 과학
과학동아
l
199704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출력은 손대지 않고 회전수만 높아지도록 개조한다. 카드는 더
높이
더 멀리 날아갈 것이다.이들 간단한 마술의 비밀을 알고나면 허망하다는 느낌이 들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알면 과학이요, 모르면 마술이다. 마술이란 기초적인 과학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으며, 과학으로 ... ...
물질이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199704
된 끝부분에 조그만 구멍이 뚫려 있다. 이 구멍을 손가락으로 막고 원통의 정해진
높이
까지 물을 넣어 손가락을 떼면, 원통 속의 물은 어떤 정해진 시간에 텅비게 되는 장치이다. 일종의 물시계다. 그러나 크레프쉬도라의 구멍을 막고 물 속에 넣으면 물이 밀려난다. 즉 크레프쉬도라 속의 빈 ... ...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반복되고 있는 과학적 오류들
과학동아
l
199704
땅에 있을 때보다 15% 정도의 체중감소만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당신이 올라간 사다리
높이
에서는 우주선이 궤도운동을 하고 있을 수도 있다. 아마 거기에 있다보면 우주왕복선이 ‘핑’하는 소리를 내며 당신 옆을 지나가는 것을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우주선 안에 있는 사람들은 항상 무중력 ... ...
Ⅰ. 속임수?이해가능한 과학적 연기!
과학동아
l
199704
있는 이 분야의 대표작으로, 현대과학과 마술이 결합한 극치라 할 수 있다. 약 91m의
높이
, 46만t의 무게에 이르는 자유의 여신상은 카퍼필드에 의해 눈 깜짝할 사이에 감쪽같이 사라졌다.이 마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유의 여신상이 어디로 사라졌던 것이 아니고, 마술에 의해 보이지 않았을 ... ...
세계최대크기의 한외룡
과학동아
l
199703
인류를 멸망시킬 수도 있다. 그때까지 우리 인간은 어쩔 수 없이 자기의 체구를 빌딩
높이
까지 계속 키우게 될 것이다.한국 공룡 누가 처음 발견했나과학동아는 96년 8월 특집 '되살아나는 공룡'에서 "72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경북대 양승영교수가 경남하동에서 공룡 알껍데기를 발견했다"고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