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념
사상
이념
생각
취지
표상
의미
d라이브러리
"
개념
"(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열린 것이다.냅스터는 단순한 사이트명이나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파일 교환이라는 신
개념
기술로 인터넷의 역사를 새로 쓴 혁명 도구가 됐다. 수십 년간 유지된 음악 소비의 형태가 냅스터의 등장 이후 완전히 바뀌었다. 냅스터가 성공을 거두자 모피우스, 카자, 그록스터 등 다양한 파일 공유 ...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이용해 임의의 삼각형은 세 내각의 합이 180°라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또한 무리수라는
개념
이 없었던 당시에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자연수일 때 대각선의 길이를 정확히 표현할 방법이 없다는 사실을 알아 냈습니다. 이 외에도 수학에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 ...
4곳으로 늘어난 영재고 전형 분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생물(화학 통합형) 영역의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과제가 제시됐다. 중등과정에서
개념
과 원리를 이해하고 있는 수험생들이라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경기과학고 기출 문제 경기과학고는 입시설명회를 통해 올해도 작년과 비슷한 수준에서 문제를 내겠다고 발표했다. 따라서 ... ...
계획 없이 하는 공부는 이제 그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읽어봐야지. 배운 걸 어디에 쓸지 모르고 학습만 하면 힘들지만, 책을 읽다 보면 그
개념
들을 어디에 쓸 수 있는지 알게 되니까 공부하는 데 훨씬 자극이 될 거야. 그리고 네가 배운 걸 책에서 확인하면서 스스로 깨닫는 재미가 더욱 클 것이고.”B학생의 경우는 지금까지 학교에서 가르치는 대로만 ... ...
식물에게 한 수 배우기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건 아니랍니다. 오이꽃의 수와 실제 열린 오이의 수를 비교하면 자연스럽게 확률의
개념
을 배울 수 있답니다.식물에서 가져온 수학 용어식물에서 쓰는 용어를 수학에 그대로 적용한 경우도 있어요. 초등학교 5학년 수학 교과서에는 자료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줄기와 잎’이라는 용어를 쓰거든요 ... ...
내 돈을 안전하게 지켜라!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민식이가 내일 바다로 놀러간다고 자랑했거든요.아빠 : 하하하.위험 계산하기확률의
개념
을 이해하면 우리는 위험을 계량화할 수 있습니다. 위험의 크기를 숫자로 나타낼 수 있다는 거지요. 은행이나 증권회사에서 위험에 대한 분석을 총괄하는 사람은 매일 특정한 수치로 위험을 점검한답니다.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최초로 레이저 발진에 성공한 시어도어 메이먼은 노벨상을 수상하지 못했다. 레이저
개념
의 창시자인 굴드도 과학자로서의 명예를 찾지는 못했다. 그는 특허 출원에도 실패하고 자신의 레이저도 완성하지 못했다. 학자보다는 발명가와 사업가로서 삶을 더 즐겼던 굴드는 레이저로 특허 출원을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대표적인 사례”라고 강조했다.브라운 소장은 ‘지속가능한 에너지’에 대한 명확한
개념
을 정립해야 한다고 제기한다. 그는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 물 같은 다른 무언가를 소모해야 한다면 지속가능하지 않은 것”이라며 “성장보다는 지속 가능성에 초점이 맞은 에너지가 진정한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투명인간처럼 아예 모습을 감추기도 한다.만약 쉴드가 보호막의
개념
이 아닌 갑옷의
개념
이라면 어떨까. 공격을 받고도 피해를 입지 않는, 즉 자연적으로 손상이 복구되는 갑옷은 나노 크기 입자들이 스스로 결집하는 나노입자 자기조립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프로토스는 고향인 아이우 행성에서 ... ...
상상력이 이끌어온 반도체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는 연구실 제자들을 비롯해 앞으로 융합의 시대를 살아갈 젊은이들에게‘transcent’의
개념
을 말한다. 찰스 다윈의‘종의 기원’에서 나온 descent, 제이콥 브로노프스키의‘인간 등정의 발자취’에서 비롯된 ascent가 있었다면, 이제는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매일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