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d라이브러리
"
둘
"(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상은 필명, 본명은 김해경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명의 천사가 노래와 춤을 꿈꾼다.첫째 줄에 하나
둘
째 줄에
둘
또는 넷그리고 셋째 줄에
둘
또는 넷이아름다운 삼각형을 만든다.때론 빠르고 때론 느리게 움직이는춤은 어지러운 다각형이다 다 빈치 같은 다방면의 천재, 이상응. 게다가 예술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인 사람들은 수학과 과학에서도 ... ...
경험을 측정하는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있다. 다만 사용자가 미소를 지었는가의 여부는 사람마다 판단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둘
이상의 관찰자가 함께 사용자를 관찰해 미소짓는 횟수의 평균을 구했다.단계 2 디자인 콘셉트의 중심도 사용자 경험현장 방문 연구와 인터뷰 자료를 얻은 뒤에는 이를 기초로 제품의 콘셉트를 정했다. ... ...
퀘이사가 만드는 중력 렌즈 첫 관측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따르면 외부 은하에서 오는 빛이 지구로 오는 길목에 질량이 큰 물체가 있다면 빛은
둘
로 갈라진다. 따라서 지구의 관측자는 실제보다 확대된 두 개의 은하를 볼 수 있다.빛이 휘는 정도에 따라 렌즈 역할을 한 물체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해 외부 은하의 질량을 구하는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분명히 가능하다고 예상하고 있다. 국내외 전문가들의 입을 통해 로봇의 현재와 미래를
둘
러싼 각종 담론들을 풀어봤다.하나, 현재의 로봇은 어느 정도 수준인가?유범재 Vs 오세영 Vs 김동환 Vs 이덕환▶휴머노이드 마루와 아라를 만든 유범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는 로봇을 ‘미래 사회의 ... ...
바이오 광학을 빛으로 엮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개설했다. LED는 물질로 빛을 만드는 과정, 태양전지는 빛으로 전기를 만드는 과정이다.
둘
다 물질에 있는 전자가 빛을 받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받았다가 내보내는 원리를 이용한다.노 교수는 “빛과 전자의 관계는 고전역학이 아닌 양자역학으로 풀어야 하는 새로운 학문”이라며 “학생들이 ... ...
판타스틱 경험디자인 월드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영국 디자이너 케빈 스캇은 자전거의 허리 부분을 자유자재로 구부려 봉이나 기둥에 묶어
둘
수 있는 자전거를 개발했다. 아무리 단단한 철이라도 자물쇠는 끊고 가져갈 수 있는데, 이 자전거는 훔쳐가려면자전거 자체를 부숴야 하니 엄두가 나지 않는다. 주인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디자인이라 할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숙여 인사를 했다. 혜명 공주 곁엔 호롱불을 든 궁녀 한 명과 호위 군사로 보이는 병사
둘
이 서 있었다.“장도사로군.”공주는 새치름한 목소리로 말했다. 간혹 간의대에서 장도사와 마주친 모양이었다.“오늘 밤은 잠이 오질 않아서 하늘 구경이나 하려고 왔지. 밤하늘 구경하기에 여기만 한 곳이 ... ...
예능 프로그램 MC는 7명이 대세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수로도 나눠지지 않는것과 마찬가지다. 때론 1+(2×3)처럼 1명의 메인 진행자를 두고 팀을
둘
, 셋으로 나눌 수도 있다. 이때도 메인 진행자가 한 쪽 팀에 속하지 않으니 균형을 잘 유지할수 있다. 무한도전이 6명이던 시절에는 유재석과 한 팀을 이루기 위해 다투는 장면이 자주 있었다.하지만 7명의 ... ...
인터월드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마법 제국을 통치하는 13인 위원회와 과학 제국을 통치하는 인공지능의 이름인 01101은 이
둘
이 성격은 정반대이면서 대등한 세력이라는 사실을 상징합니다.2진법은 라이프니츠가 발명한 수 체계로, 0과 1만으로 모든 수를 나타냅니다. 10진법에 익숙한 사람에게 2진법은 눈에 잘 들어오지 않습니다. ... ...
수학을 잘 해야 추리를 잘 한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유클리드 원론의 첫 번째 공리는 근대 삼단논법에 중요한 역할을 했어요. 삼단논법은
둘
이상의 전제로부터 새로운 결론을 이끌어 내는 방법으로 수학 기호로 나타내면 ‘p→q이고 q→r이면 p→r’이에요. 수학에서 삼단논법은 수학 문제를 풀 때, 정리를 증명할 때 쓰여요. 귀납추리는 경험을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